울진원전 3호기, 품질검증서 위조

  • 등록 2012.11.07 08:20:23
크게보기

부품 공급 건에 대한 민간환경감시위원회의 입장

지난 115일 지식경제부 장관의국내원전 품질검증서 위조 부품 공급사건 보도와 관련하여, 긴급 대책과 논의를 위해 울진원전민간환경감시위원회(이하 감시위’, 위원장 임광원)에서는 제60차 긴급확대 운영위원회('12.11.05)를 개최하였다.

 

감시위는 원전운영의 최우선 정책인 안전성 확보에 있어 그 동안 정부와 한수원이 지역주민에게 일방적으로 강조, 홍보한 내용이 모두 거짓이었음이 드러난 사건으로 간주하고 과거 10년 동안('03~'12) 237개 품목 7,682개가 국내 전 가동원전에 납품되면서 한수원이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것 자체가 의혹으로, 이러한 사실을 10년 동안 단 한 차례도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것은 한수원 운영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위조 품질검증서로 납품된 부품 중에 실제 적용된 부품은 136개 품목 5,233개로서 영광3,4,5,6호기와 울진3호기에도 이미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영광5,6호기에 98.4%가 집중 사용되어 그 교체를 위해서는 발전정지가 불가피한 상황인 반면, 울진3호기에 기 적용된 2개 품목 45개 부품에 대한 검증 및 도입과정의 불확실한 문제점과 예비품(정품 부품) 교체를 위해 원전가동을 중지하지 않고 교체하려는 정부와 한수원 태도에 우려를 표명하였다.

 

감시위는 지난해 전 세계를 경악케 했던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내원전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자, 올해 2월 고리원전 정전사태 은폐 건, 7월 납품비리 뇌물 횡령 건, 9월 재난안전관리팀 직장내 마약 투약 건 등 비리의 온상으로 전략한 한수원이 이번에는 급기야 공급 부품을 보증하는 납품업체의 공문서 날조까지 적발된 사실에 분노한다.

 

더불어, 울진원전 6개호기 및 신울진1,2호기에 적용되는 모든 사용부품 및 예비품에 대한 정밀 전수 조사, 지역주민들에게 투명한 정보공개와 관련 책임자 문책, 울진3호기에 기 적용된 2개 품목 45개 위조부품에 대해서 원전 안전성 확보측면에서 발전정지 후 교체하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조속한 시일 내, 한수원 사장 배석 하에 전체 감시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여 이번 사건과 관련한 사항들에 대해 집중 논의하기로 하고, 관련 자료(울진 3호기에 미검증 부품 45개 확인 과정과 목록, 신규 교체 설치될 부품 45개의 품질 검증 절차, 영광5,6호기에 적용된 5,233개 부품 중 발전정지 유발 부품 목록)를 확보하기로 하였다.

  [더타임즈=울진 백두산기자]

백두산 기자 kgb02880@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