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핵심기자재 최초 국산화 원전 건설사업 본격 착수

  • 등록 2012.05.06 09:05:11
크게보기

- 순수 국산화, 신울진 원전 1,2호기 기공식

 
- 좌측 세번째부터 강석호 국회의원, 김종신 사장, 강창순 원안위원장, 홍석우장관, 김철규 원전설비특성화고 학생, 이명박 대통령, 황순분 울진군여성단체협의회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이상효 경북도의회 의장, 허열 한수원 신울진건설소장, 임광원 군수.
 
- 신울진 원전 1,2호기 기공식 이명박 대통령 참석 치사
순수 국내 기술로 건설되는 신울진 1,2호기가 본격적으로 건설 사업에 착수했다.

신울진 1,2호기에는 그동안 해외기술에만 의존해 왔던 원전 핵심 기자재인 ‘원전계측제어시스템(MMIS : Man- Machine Interface System)’과 ‘원자로냉각재펌프(Reactor Coolant Pump)’를 국내기술로 개발, 신울진 원전 1,2호기에 적용한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신형 가압경수로형(APR1400) 2기(신울진 1,2호기)를 경북 울진군 북면 덕천리 및 고목리 일원에 건설한다. 지난 2009년 4월에는 실시계획승인을, 2010년 3월에는 주설비공사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10년 4월에는 부지정지공사를 시작했다.

신울진 1호기는 오는 9월에 최초 콘크리트 타설을 시작으로 2014년 6월에 원자로를 설치하고, 2017년 4월 준공할 예정이다. 또 신울진 2호기는 2013년 9월에 최초 콘크리트 타설, 2015년 5월에 원자로를 설치하고, 오는 2018년 4월에 준공하게 된다.

한수원은 4일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김관용 경북 도지사, 임광원 울진군수, 지자체장 및 지역 주민 등 약 7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신울진 1,2호기의 본격적인 건설을 기념하는 기공식을 가졌다.

신울진원전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외 안전점검 결과 도출된 개선사항을 모두 설계단계부터 반영,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또한 이 건설 사업은 약 7조원의 건설비를 투입하고, 연인원 약 620만 명이 참여하는 등 고용창출과 국내경제 활성화 및 저탄소 녹색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처 : 신울진1,2사업팀(☏02-3456-2520) 언론홍보팀(☏02-3456-2130)
[신울진원전 1,2호기 건설사업 현황]

1. 사업 개요
□ 위치 : 경북 울진군 북면 덕천리 및 고목리 일원
□ 형식 : 가압경수로형(APR1400)
□ 용량 : 140만 KW급 × 2기
□ 공사기간
○ 1호기 : 2010. 4.30 ~ 2017. 4.30(84개월)
○ 2호기 : 2010. 4.30 ~ 2018. 4.30(96개월)
□ 총 공사비 : 6조 2,981억원
○ 내 자 : 5조 5,009억원
○ 외 자 : 7,972억원 (724,746US$)
□ 공정률(‘12.3월말 기준)
○ 계획/실적(공정률) : 28.36%/28.98%(102.17%)

2. 사업추진 경위
■ 2002. 5. 4 : 전원개발 예정구역 지정고시(산업자원부)
■ 2005. 6. 8 : 건설기본계획 확정
■ 2009. 4. 3 : 실시계획승인 취득(지식경제부)
■ 2009. 4.16 : 국산화추진 ‘원자로냉각재펌프, 원전계측제어시스템’ 사업적용 결정
■ 2009. 7.31 : 주계약(설계, 주기기 등) 체결
■ 2010. 3.22 : 주설비공사계약 체결
■ 2010. 4.30 : 부지정지 착수
■ 2011.12. 2 : 건설허가 취득(대 교육과학기술부)
■ 2011.12. 3 : 본관 기초굴착
□ 2012. 9. 1 : 최초 콘크리트 타설
□ 2014. 6. 1 : 1호기 원자로설치
□ 2016.10. 1 : 1호기 연료장전
□ 2017. 4.30 : 신울진1호기 준공
□ 2018. 4.30 : 신울진2호기 준공

3. 기대 효과
□ 지역지원금 및 지방세 납부 : 약 1조8천625억원
□ 발전소 건설기간 및 운영기간 중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 연인원 약 620만명 고용창출 효과(지역주민 인력고용 기회 확대)
○ 지역업체 건설 참여우대로 경기 활성화 기여
○ 한수원, 시공사, 협력업체 등 인구유입에 따른 시장경제 활성화 기대

4. 후쿠시마 후속조치사항(33건)
□ 설계개념에 기반영되어 설계가 진행중인 사항(6건) : 조치완료
○ 안전정지 유지계통 내진성능 개선
○ 예비변압기 앵커볼트 체결
○ 피동형 수소제거설비 설치
○ 격납건물 배기 또는 감압설비 설치(감압설비 설치예정)
○ 비상 대응시설 개선
○ 비상경보시설의 성능강화
□ 설계변경 필요사항(12건) : 운영허가 전까지 조치 예정
○ 지진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 지진 자동정지설비 설치 등 2건
○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 방수문 및 방수형 배수펌프 설치 등 2건
○ 침수발생시 전력․냉각계통 건전성 : 이동형 발전차량 확보 등 6건
○ 중대사고 대응 : 비상냉각수 외부주입유로 설치 1건
○ 비상대응 및 비상진료 체계 : 장기 전원상실시 필수정보 확보방안 1건
□ 기타(15건) : 가동원전 조치결과 참조, 운영허가 전 조치 예정
○ 조치를 위해 용역 수행이 필요한 사항(2건)
○ 지침 및 절차서 개정 등 발전소 운영관련사항(13건)
백광건 기자 기자 kgb02880@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