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제8회 한일시장지사회의 참석…한일 지방정부 교류협력 확대 논의

  • 등록 2025.11.12 21:45:30
크게보기

– 인구감소·지방소멸 대응전략 공유, 지속가능한 국제협력 모델 구축 공감대 –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경상북도는 12일 인천광역시 경원재에서 열린 제8회 한일시장지사회의에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참석해 한일 양국 지방정부 간 공동 현안과 교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의 5개 광역단체장(경북, 인천, 세종, 강원, 전북)과 일본의 9개 현(나가노, 이와테, 미야기, 야마나시, 오카야마, 히로시마, 도쿠시마, 후쿠오카, 구마모토)이 함께 자리해, *‘인구 감소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제로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 한일 지방정부, 공동현안 해법 모색

한일시장지사회의는 1999년을 시작으로 2년마다 양국이 번갈아 개최해 온 지방정부 간 협의체로, 2017년 부산 회의 이후 한일 관계 경색으로 중단됐으나, 2023년 이철우 지사와 히라이 신지 돗토리현 지사의 합의로 6년 만에 재개됐다.


2023년 11월 일본 야마나시현에서 제7회 회의가 열린 데 이어, 올해 한국 인천에서 연속 개최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이철우 지사 “지방이 한일관계의 새로운 60년 열 것”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개회 인사에서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60년의 관계를 여는 전환점에 서 있다”며 “이번 회의가 양국 지방정부 간 협력이 한층 강화되고,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의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어진 주제발표에서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대응전략’을 소개하며, 경상북도가 추진 중인 ‘저출생과의 전쟁’ 선포와, 지난 8월 돗토리현과 공동 개최한 *‘저출생 극복 국제공동포럼’*을 사례로 제시했다.


그는 “수도권 집중과 저출생은 한일 모두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라며 “서로의 경험을 공유해 지속 가능한 지역모델을 함께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공동선언문 채택, 2027년 일본에서 제9회 회의 개최

회의 참석자들은 한일 수교 60년간 쌓아온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협력 방향을 모색하며, 향후 공동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또한 차기 제9회 한일시장지사회의를 2027년 일본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 배경과 의의

한일시장지사회의는 1998년 김대중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사이타마현 지사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1999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출범과 함께 본격화됐다. 현재 한국 17개 시·도와 일본 47개 도도부현(都道府縣)의 단체장이 참여하며, 지역 현안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 교류와 공동 대응을 이어오고 있다.


경상북도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한일 지방정부가 인구감소, 지역소멸 등 공통 위기에 대응할 실질적 협력의 틀을 마련했다”며 “지속 가능한 지방발전 모델 구축과 국제연대 강화를 위해 경북도가 중심 역할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마태식 기자 cartoonist-ma@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5길 19 107동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