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중대 결심 할 것 예의 주시

  • 등록 2008.03.08 21:46:56
크게보기

얼마나 더 당해야 정신 차리는가, 측근들 나약함에 더욱 실망

 
▲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전날 이규택·한선교 의원 등 측근 의원들이 탈락한 데 따라 7일 예정됐던 외부 공식활동을 모두 취소하고 칩거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박 측근들은 "공천의 최종 결과가 납득하지 못할 수준일 때는 총선 지원유세 중단 등, 박 전 대표 방식대로 이에 대한 책임을 묻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박 전 대표 지도력에 한계" 의심

또한 박 전 대표는 이규택 의원을 만나 위로하면서 "미안하다. 내가 힘이 없어서 이렇게 됐다. 이명박 대통령과 만났을 때 "우리를 믿으라"고 해서 신뢰를 했다. 이렇게 될 줄 몰랐다"고 말했다고 한다.

참으로 황당무계한 일이다. 박 전 대표가 "힘이 없다"고 말한 대목은 그만큼 직계들을 챙기지 않았다는 것을 시인하는 말이라 본다. 박 전 대표는 이명박 대통령의 말만 믿고 그동안 공천과정에서 무관심으로 일관한 책임을 져야할 것이다.

지난 경선과정에서 그만큼 당해왔으면서 이측을 믿었단 말인가. 이런 경우를 "자업자득"이라 할 수도 있다. 박 전 대표가 경선 과정에서도 수차에 걸쳐 지지자들의 충언을 마다하고 자신의 고집과 오만을 부리면서 이지경이 되도록 만든것 아닌가.

경선중 문제를 제기한 여론조사 가중치 양보만하드라도 박 전 대표가 과연 "박측의 리더"인지 "이측의 공신"인지 분간하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공천과정에서 사전에 핵심을 제기하지 못하고 항상 뒷북만 치는 그런 나약함을 보여왔다.

표면상으로만 리더격인 박 전 대표의 지도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 의아심을 아니 가질수 없다. 한두번도 아닌 당의 대표까지 역임한 박 전 대표가 이렇게 나약할 수가 없다.

"박 전대표 보다 그 측근들 나약함에 더욱 실망"

도대체 박 전 대표는 무엇을 얻으려고 이런 뒷북만 치는 나팔수 역활을 하는가. 매사를 신중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항상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만 호들갑을 떠는 박 전 대표와 박 측근들이 안쓰럽기만 하다.

이미 지지 논객들이 수차에 걸쳐 충언을 전달했고, 지지자들이 그렇게 읍소를 했어도 들은 척도 안하던 박 전대표와 측근들에게 자업자득이 아닐까. 솔직히 박 전 대표 보다는 그를 따르는 측근들의 나약함에 더욱 실망이다.

측근들 중에 이런 일들이 일어 날 것을 미리 예견할 인물들이 하나도 없었는가. 또한 측근들은 박 전 대표를 위해 치마폭속에서 마마보이들 처럼 박 전 대표만 뒷전에서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문제다.

그 누구하나 박 전대표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지 못하고 눈치만 살피며 따라가고 있다. 잘못된 길을 가려는 박 전 대표에게 왜 직언을 하지 못하는가. 왜 옳바른 길로 인도하지 못하는가 말이다. 오직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려는 측근들이 과연 박측이라고 할 수 있을까.

만일 한두사람의 공천이 이뤄진다면 또 묵인하에 한나라당 지도부를 따를 것이 뻔하다. 결국 실리도 없이 끌려가는 박 전 대표와 그 측근들이 될 것이다. 항상 문제가 터지고 나면 그때서야 난리법석을 떨고 "칩거와 장고"에 들어가는 박 전대표다.

"박근혜 더 이상 칩거행위 반복하면 안된다"

그의 칩거는 작년 여름 한나라당 경선이 끝난 후로 벌써 세 번째인 것 같다. 박 전 대표가 작년 여름 경선에서 실패한 후 며칠, 당직 임명이 불리하게 되었을 때, 공천에 관한 불리한 소문이 나돌았을 때도 삼성동 자택에서 칩거한 바가 있다.

"칩거"는 좋게 보아 일종의 정치기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정치인들이 자기의 이익이나 권리가 침해당할 때 극적인 효과를 내어 사태를 반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행위를 자주하다 보면 국민들이나 지지자들도 식상해 하는 경우가 있다. 스스로 자기가 단순하고 유치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약하지 않은 정치인 박근혜라면 더 이상 이런 행위를 반복해서는 안된다.

최소한 측근들의 중지를 모아 전면에 나서서 문제의 핵심을 파헤치고 측근들이 내린 결과에 따라 과감하게 돌파해 나가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측근들 역시 끌려다니지만 말고 전면전을 벌여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항상 박 전대표를 앞세우고 뒷전에서 떡고물만 주워 먹으려는 그런 발상을 버려야 한다. 진정 박측이라면 박 전대표와 힘을 합쳐 이 난관을 극복해 나가야 한다. 향후 더 큰 정치를 하기위해서라도 이정도의 희생을 마다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의제기 "탈락자들, 원점으로 되돌릴 수 없다"

박 전 대표는 칩거에 들어가기 전‘나를 도왔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자기편이 보복 당한다’는 것이라고 표명했다. 또한 "이번 공천은 표적이라고 밖에 볼 수 없으며,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정말 잘못된 일이라면서 납득할 만한 이유를 밝혀야 한다"고 이의를 제기하고 나섰지만 이런 단순성 발언으로 원점으로 돌아가진 않는다.

이번 공천심사위원을 누가 선정했는지. 어떤 과정으로 공천심의를 했는지, 공정성 있었는지, 왜 탈락시켰는지를 따져 물어야 한다. 철새는 공천이 확정되고, 의정생활에 아무런 하자가 없고 지역구에서 지명도가 높은 한 의원은 탈락하고 말았다.

박근혜를 지지했기 때문이라는 이유"라는건 이미 박 전 대표와 그 측근들을 무시한 처사다. 공심위를 들여다 보면 이방호 사무총장, 광주출신의 전국구 김애실의원, 임해규, 정종복, 그리고 친이 계열의 외부인사들이다.

애초에 공심위원들을 반대하고 나선 박측들이 협조한 인사들이 아닌가. 그러기에 "자업자득"이란 말이 나오는 것이다. 공심위를 선정할 당시 그토록 반대를 했으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과감한 행동으로 저지했었어야 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나 그 측근들이 인정한 공심위 아니였던가. 이처럼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면서 무슨 계파니, 참정치를 한다고 나서는가. 참으로 한심하고 무능한 박근혜계파들이라 아니할 수가 없다.

박근혜 측근들, "얼마나 더 당해야 정신 차리는가"

이렇게 당하기만 하는 박근혜 측근 의원들은 아직도 상황 판단이 안서는 모습이다. 한 측근은 "박 전 대표가 추후 공천 결과를 좀더 지켜볼 것"이라며 "8일부터 시작될 영남 지역 결과에 따라 대응 수위가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박근혜와 그 측근들은 얼마나 더 당해봐야 정신을 차리겠는가. 총선이 끝나야 그때가서 땅을 치고 후회를 하려고 하는가. 이제 총선도 한달여 남았다. 더이상 무엇을 기다리고 있는가. 한나라당이 박측근들에게 무엇을 줄거라 생각하고 있는가.

박 전 대표는 매번 이명박 대통령 측에서 약속을 어겼다고 하는데, 어떻게 약속을 받았기에 번번이 그렇게 되는지, 본인 자신의 정치력에는 문제가 없는지도 성찰해 보아야 한다. 무엇보다도 그녀가 지도자의 감각이 있다면 똑같은 칩거를 서너 번씩이나 반복하여 국민을 식상하게 하지는 않을거라 생각한다.

박측근들은 이제라도 정신을 차려야 한다. 박근혜계가 정치판에서 살아 남는 길은 오로지 한나라당에서 분당을 하는 길 뿐이다. 이번 4.9총선에서 선거구도로 볼때 "박근혜"계파가 단독으로 총선에 나선다면 50-60석은 무난하리라 예상된다.

하늘이 내려준 마지막 기회를 박 전 대표와 그 측근들이 어떻게 활용할지 두고 볼 일이다.
김응일 기자 기자 skssk119@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