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측에서는 지난 재보궐선거 결과에서 드러났듯 전통적 한나라당 지지자들의 대거이탈을 막고 균열된 지지층을 규합하기 위해서는 ‘박근혜총리기용’이 난국해결의 최적해란 주장을 내놓고 있다. 빅 전 대표측 주변에서도 “외부 사람들을 만났더니 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건 "박근혜 총리 카드"밖에 없다고 하더라"며 분위기를 띄웠다. 한 친박 인사도 "박 전 대표가 나서서 위기 해결을 위해 총리든, 당 대표든 맡아야 하는 것 아니냐"고 전언하기도 했다. 친박 인사인 김학원 전 의원은 "친이, 친박 양쪽이 과거의 불만과 감정을 털어버리고 화학적 결합을 이룬 다음, 청와대가 진정성을 보인다면 박 전 대표가 총리를 맡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분위기에 대해 일부 측근들은 "총리직이 박 전 대표에게 어려움을 줄 수 있지만 난국 타개를 위해 맡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다른 측근은 "이명박대통령이 진정성을 갖고 제안한다면 현 정부의 성공차원에서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한 지지자는 “굳이 난파선에 몸을 실을 이유가 없다. 어차피 이 난국을 수습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박 전 대표에게 총리를 맡기는 것 아니겠느냐”고 주장했다. 그러나 또다른 지지자는“이 대통령이 진정성을 보이고 단순 대독총리가 아니라 국정동반자격의 총리를 보장한다면 이번에는 총리입각도 고려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주장을 내놓았다. 다만 박 전 대표는 이미 여러차례 “나라 발전을 위해 좋은 일이고 옳은 일이면 이 대통령과 항상 협력하겠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협력을 약속한바 있어 전격 총리수락 가능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이종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