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호의 위기, 진정성이 문제다!

  • 등록 2008.06.09 14:45:33
크게보기

실세총리 박근혜, 진정한 회개(?)위에 ‘삼고초려’ 해야..

 
▲ 필자=이용휘 
ⓒ 더-타임스
“정권창출 이후에도 주요한 국정현안을 협의하는 ‘정치적 파트너’로서 ‘소중한 동반자’로서 함께 나아가겠다.” 이는, 2007년 11월 11일 지난 한나라당 대통령 경선에서 박근혜 후보에게 ‘지고도 이긴(?)’ 이명박 후보가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가진 기자회견장에서 박근혜 전 대표와 전국민을 향해 스스로 한 약속이다.

이 후보는 또 “앞으로 박 전 대표와 함께 당을 하나로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이고자 한다. 강재섭 대표, 박근혜 전 대표와의 ‘3자 정례회동’을 추진하겠다.”며, “국민이 내게 50%가 넘는 지지율을 보내줬음에도 한나라당은 (...중략...) 경선 이후 오늘까지 진정한 화합을 이루지 못했다. 그 모든 점은 내가 부족했던 탓이다”며 한껏 몸을 사렸다.

이어 “아직 당은 진정한 화합의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 따뜻하고 진정한 배려가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 모든 일들은 누구의 탓도 아닌 내가 부족한 탓이다. 지난 며칠동안 경선 이후 지금까지의 시간을 돌아봤고, 스스로를 성찰하는 좋은 기회였다. 이제 더 열린 마음으로 더 낮은 자세로 다시 시작하겠다.”며 “박 전 대표의 정치적 리더십과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박 전대표와 함께 정권을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혜의 ‘正道정치’... “이명박을 살려...”

이에 박근혜 전 대표는, 경선과정에서의 석연치 않은 여론조사과정을 문제 삼아 충분히 이의제기를 할 수 있었음에도, 군더더기 없는 ‘깨끗한 승복’을 한데 이어,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대선에 출마한 이회창 후보의 ‘삼고초려’에도, “(이회창 후보의 출마는)정도가 아니다!”는 명쾌한 한마디로 결국 이명박 후보의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기여를 했다.

이회창 총재와 가까운 모 인사는 필자와의 사석에서, 당시 이회창 후보가 대선출마를 결심하기까지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고 한다. “사전여론조사 결과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대선에 출사표를 던질 경우 자신의 지지율은 23%이상이었고, 여기에 박근혜 측의 지지를 더한다면 충분히 대선승리를 확신했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도 당시 상황에서 만일 박근혜 전 대표가 이회창 후보의 손을 들어 주었다면 ‘대통령 이명박’의 탄생은 쉽지 않았다고 본다. 하지만 이회창 총재는 박근혜를 확실히 몰랐던게 화근이었다. 일흔이 넘은 원로정치인이자 한나라당 전 대표였던 이회창 총재의 삼고초려를 거절하는 일, 결코 쉬운 것이 아닐 터였지만 박근혜 전 대표는 눈앞의 이해타산에 얽매이지 않고 ‘원칙과 정도’를 끝까지 지키는 참 지도자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어떠한가. 대통령 당선 직후, 박근혜를 향해 스스로 던진 ‘국정의 동반자 약속’을 헌신짝 버리듯 팽개치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구성에서부터 조각에 이르기까지 ‘승자독식’의 칼자루를 휘두른데 이어, 학살공천을 자행해 박근혜의 수족을 철저히 잘라냄으로서 스스로 정치불안정을 야기하고 오늘의 국란을 초래하고 있지 않은가!?

"미국산쇠고기"를 넘어 "이명박 OUT!"에 이르기까지, 오늘의 총체적 난국의 중심에는 이렇게 이명박 대통령 스스로의 對 박근혜 전 대표와의 약속위반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오죽하면 박근혜 전 대표가 “나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고 했겠는가! 사정이 이러함에도 아직도 이명박 대통령의 지근거리에선 “사탄의 무리를 없애야 한다.”는 등, 국민정서와는 전혀 동떨어진 망언이 공공연히 흘러나오니 개탄치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대통령 이명박’과 ‘실세총리 박근혜’

일부에서는 현재의 국정난맥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박근혜 전 대표가 "미워도 다시한번" 이명박 대통령을 위해 총대를 매줘야만 가능하다고 한다. 이른바 ‘박근혜 국무총리’ 설이다. 정치권 내에서도 이설이 분분하지만, 필자는 ‘박근혜 국무총리’ 설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왜냐? 현재의 총체적 국란을 수습할 유일무이한 카드는 박근혜 밖에는 안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분명한 조건이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진정성’이 문제다. 돌아보면, 박근혜 전 대표가 먼저 이명박 대통령을 향해 뭘 요구한 적은 한번도 없었다. 지난 경선과정에 이어 인수위구성과 조각과정, 그리고 학살공천과 이의 결과에서도 이명박 대통령이 스스로 약속하고 말했을 뿐, 박근혜 전 대표는 오직 ‘원칙과 정도’에 따라 말하고 행했을 뿐이었다.

‘박근혜 국무총리’ 설. 크게 보면, 이번이 4번째로 박근혜 전 대표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다시 한번 속느냐 마느냐’이다. 진정으로 이명박 대통령이 박근혜 전 대표와 ‘국정의 동반자’ 의지가 있다면, 박근혜 전 대표에게 실세 국무총리의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어자 피 18대 국회에서의 개헌논의는 정치권의 旣 합의사안이다. 선도적 개헌실험이라 여겨도 될 것이다. 박근혜 전 대표 또한 마냥 "좋아라~"가 아니다. "실세총리"로서의 국정책임 앞에, 자칫 정치생명과 직결된 위험을 감수해야한다.

비록, 탄생 100여일 만에 만신창이가 다 된 난파선 모습의 ‘이명박 정부’라지만, 당장 이명박 대통령의 탄핵을 요구하는 것은 멀리 보아 국익과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선 결코 바람직한 모습이 아니다. 태성과 습성을 하루아침에 바꾸기는 참으로 어렵겠지만 지금이라도 이명박 대통령은 솔직한 회개(?)위에 박근혜 전 대표를 향해 진정으로 우러나는 삼고초려를 해야 한다.

‘10년 좌파정권종식’ 뒤에는 수많은 보수진영의 노력이 있었다. ‘대통령 이명박’의 탄생과 ‘한나라당의 집권’ 뒤에는 이 대통령이 그토록 선호해 마지않는 기독교인들도 있었겠지만, 그 중심엔 박근혜를 정점을 한 변화된 보수가 깊이 자리했음을 알아야 한다. ‘대통령 이명박’과 ‘실세국무총리 박근혜’야말로 오늘의 국란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 아닐까 본다.(*필자 주: 본 칼럼은 "브래이크뉴스"와 "서울뉴스"에 동시 기고 됨.>
이용휘 칼럼니스트 기자 yiyonghwi@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