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가로수 은행열매 “식용 문제없다” 기준치보다 낮아

  • 등록 2012.10.30 09:25:36
크게보기

[더타임스 강애경기자] 부산시는 시 전역 61개소의 가로수에 열린 은행나무 열매에 대한 중금속 검사를 의뢰한 결과 기준치 보다 낮게 검출됐다고 밝혔다.
 
지난 10월초 경기도 안양시 은행나무 가로수의 은행열매에서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납과 카드뮴이 검출되자 부산에서도 은행열매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었다. 이에 부산에서는 자치구·군별로 보건환경연구원에 중금속 검사를 의뢰했고 26일 최종 결과를 통보받았다.

 

이번 검사는 16개 자치구·군의 주요 도로 및 간선로에 식재된 은행나무의 열매를 채취해 진행됐으며, 의뢰된 61건 모두의 납·카드뮴 노출량은 참고 기준 중 최저기준인 ‘먹는물 수질기준’ 이하였다. 이에 따라 은행열매 식용으로 인한 납, 카드뮴 노출량은 미미할 것으로 판정됐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곡류·콩류·견과류·과실류·채소류 등의 중금속 기준 및 규격을 고시하고 있으나, 은행열매에 대한 식품 중금속 규격기준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번 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간하는 ‘식품공전’을 기준으로 실시되었으며, 식품공전에는 △농산물 중 중금속 최저기준(납 : 0.1mg/kg 이하, 카드뮴 : 0.05mg/kg이하) △참깨(납 : 0.3mg/kg 이하, 카드뮴 : 0.2mg/kg이하) △먹는물 수질 기준(납 : 0.01mg/L 이하, 카드뮴 : 0.005mg/L이하)으로 규정하고 있다. 

 
부산에는 현재 총 14만1천여 본의 가로수가 있으며 은행나무는 3만6천본에 달한다. 이중 은행열매(암나무)는 은행나무의 22%인 7천본에서 자라고 있다.

 

매년 가을이면 익은 은행열매가 보도나 도로로 떨어져 악취를 풍기는 등 도시미관과 시민불편을 야기해 왔다. 또, 일부 시민들이 무단으로 은행열매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가로수의 훼손, 교통흐름 방해, 안전사고 위험 등 민원이 발생함에 따라 해당지역 자치구·군 주관으로 매년 조기채취 작업을 실시해 왔으며, 채취한 은행열매는 양로원 등 기부 및 불우이웃돕기에 사용되어 왔다.

강애경 기자 032416@hanmail.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