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 또는 남북관계 등과 관련, 곧 "중대 발표"를 할 것이라는 보도가 일본 발로 잇달아 나왔지만 정부는 크게 무게를 두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요미우리 신문이 19일 산케이 신문은 북한이 곧 남북관계나 북한정세와 관련된 중대한 발표와 함께 외국인 입국금지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런 보도에 대해 김호년 통일부 대변인은 "북한의 중대 발표와 관련된 소문은 들은 바 있으나 현재로서는 확인해 줄 만한 사실이 없다"고 말했다. 정부 당국은 대북 정보 접근성의 한계를 감안, 더 이상 구체적인 언급은 자제하고 있지만 일본 언론의 잇단 보도가 단순 소문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는 듯한 분위기다. 실제로 당국은 최근 일본 발로 "중대발표"와 관련된 소문이 제기되자 확인에 나섰지만 그다지 신빙성이 높지 않다고 잠정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정부 소식통은 북한 재외 외교관들에게 대기 명령이 실제로 하달됐는지도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고 전제한 뒤 "이론적으로 외교관 대기 명령은 북한 인사의 해외 망명과 관련해서 내려올 수 있지만 망명 관련 정황이 포착된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지난 11일 김 위원장 담화가 발표된 뒤 해외 외교관들에게 그 내용을 전파하고 공람 및 학습 시키려는 차원에서 지시가 내려간 것이 와전됐을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중대발표"가 김위원장 건강이상 설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는 일본 언론의 예상에 대해서도 당국은 시큰둥한 반응이다. 한 정부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건강을 회복하고 있는 중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기에 그런 추측이 사실일 개연성이 높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무부처인 통일부에서도 "중대발표"와 관련된 긴급 회의를 소집하는 등의 부산한 움직임은 19일 오후 현재까지 포착되지 않고 있다. 이날 간부 회의가 잡혀 있지만 오는 23일 국정감사 준비 등을 위해 일찌감치 예정돼 있던 일정이며 일본발 중대발표 설 때문에 소집된 것은 아니라고 통일부 관계자는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