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와 이명박이 갈라서는 이유

  • 등록 2008.01.05 16:02:19
크게보기

박근혜 전 대표 2월초 신당시나리오,월 총선 최소 30~40석 많게는 50~60석 예상

 
최근 공천과 관련 박근혜 전 대표의 불편한 심기가 수면으로 떠오르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지난 2일
대구·경북지역 신년 하례회 참석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자리에서 “석연찮은 이유로 공천을 미루는 특별한 이유가 무엇인지 다른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며 최근 당내에 일고 있는 ‘40% 물갈이설’에 대해서도 “10년 동안 야당생활을 하면서 많은 분들이 어렵게 정권교체까지 이루어낸 것인데 그들을 향해 물갈이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안타깝고 뵐 면목이 없는 일”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일각에서는 이와 같은 파열음을 두고 조만간 이명박과 박근혜가 갈라서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정치권 역시 이번 이명박 당선자와 박 전 대표간의 공천 문제로 불거지는 파장이 너무 클 것으로 예상, 한 지붕 두 가족으로 공생하겠는가의 회의론적인 시각도 나오고 있다. 어차피 공천문제로 불거질 상황이라면 임기 5년 동안 당내 불협화음은 불 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명박 당선자 측으로서도 이번 대선결과에서 보듯 압승을 한 분위기로 여세를 몰아 차라리 갈라서도 별 손해가 없다는 계산도 나오고 있으며, 박근혜 전 대표 측 역시 측근 모두가 수족이 묶여 몇몇이서 숨만 쉬는 형국이라면 굳이 동거할 명분이 없다는 일각의 견해도 있다.

특히 박 전 대표 측 김모 의원은 “지난 경선 때 국민에게 각인된 박근혜 브랜드를 가지고 이번 4월 총선에 다시금 국민의 심판대에 오르자는 적극적인 의견도 나오고 있다.”며 “이제는 모든 것을 훌훌 털고 차라리 짐을 싸, ‘옥탑방’이라도 마련하면 당장 30~40석, 많게는 50~60석도 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필사즉생’의 정신으로 임하면 된다. 이래 죽으나 저래 죽으나 마찬가지 아닌가, 한번 붙어나 보자, 아니면 다 죽는다.” 라고 말했다.

한편 느긋한 이명박 당선자 측이야 급할 게 없다는 표정이다. 설마 과거에 한번 탈당한 경험이 있는 박 전 대표가 다시 모험의 길로 접어들겠냐는 부정적인 견해를 갖고있는 시각도 만만찮다.

어쨌든 이번 공천문제로 불거지는 주된 요인은 이명박 당선자와 박근혜 전 대표간의 입장차가 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과거 탄핵이후 급랭한 한나라당의 지지율 반전과 ‘차떼기’ 당의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천막당사부터 시작해 누구보다 한나라당을 기사회생시킨 박 전 대표측으로서는 ‘정권 재창출의 초석이 되었다’는 데 강한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허나 이 당선자 측 일각에서는 지난 대선과정에서 박 전대표가 이명박 후보에게 화끈한 지지를 보여주지 않았다는 지적과 함께 경선과정에서의 치열했던 앙금이 그대로 남아있다는 점을 떠올릴 때 여전히 보이지 않는 갭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다가오는 총선을 앞두고 공천에 대한 양측의 입장이 팽팽한 가운데, 최근 이명박 당선자와 박 전 대표 간의 회동이 다소 격앙된 분위기여서 사실상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후문과 함께, 공천문제로 다시금 만날 일이 없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대구지역의 한 언론인은 “이번 기회에 박 전대표도 신당을 꾸려 당당히 국민의 심판을 받아보는 것도 하나의 정치권에 커다란 변수라 생각한다. 작금의 현 정치 구도속에 압승을 거둔 이명박 정권이 다가오는 총선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할 수 있는 명분을 얻었다고 본다면 강력한 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변변한 야당이 나와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 “그렇다고 통합신당에 기대를 걸기에는 좀 어렵다고 본다. 차라리 일당 독주를 견제할 수 있는 박전대표의 야당출현을 정치권에서 신선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겠냐”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공천문제로 불거져 나온 양측 입장이 과연 ‘박근혜 브랜드’를 통한 신당으로 이어질지, 아니면 공동파트너의 모습으로 갈 지는 미지수이지만, 박 전대표의 향후 탈당수순으로 이어진다면 그 시기는 1월 중순이나 늦어도 2월 초순경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홍범 정치전문기자 rokmc360@hanmail.net
김홍범 칼럼니스트 기자 ljn1124@hanmail.net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