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그 어떤 예단도 금물이다.

  • 등록 2012.08.09 12:02:28
크게보기

검찰은 각종 설에 대해 철저히 수사해야

인체에 병이 들어 환후가 깊어지면 아픈 부위를 도려내야 치유가 된다. 환후가 깊고 병이 크게 났다고 해서 고귀한 사람의 생명까지 단절 시킬 수는 없는 일이다. 세상사도 그렇다 . 가족을 구성하고,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이 전부다 백의 천사와도 같다면 이 세상에는 정의라는 말이 필요조차 없고 법이라는 사회적 규범은 존재할 가치조차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부모가 자식의 성공을 바라며 뒷바라지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지극 정성을 들여 뒷바라지를 해도 모두가 성공하는 것도 아니며 숱한 범죄자가 양산되기도 한다. 인간의 구조에는 50%의 성악설을 뒷받침하는 유전인자와 50%의 성선설을 뒷받침하는 유전인자를 공유하여 태어났지만 인생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그 균형이 무너질 때 어떤 사람은 선행을 하며 살아가고 어떤 사람은 악행을 저지르며 살아가는 지도 모른다. 그래서 사람이 살아가는 공동체에는 항상 범죄는 있었지 않았을까 싶다.

유혹은 언제나 개인의 자제력 억제에서 비롯되게 마련이다. 자제력이 약하면 범죄의 대상에서 취약점이 노출되는 법이다. 여당인 새누리당과 야당인 민주당에서 차기 대선에 출전할 최종 후보를 뽑는 과정에서 새누리당의 공천 헌금 사건이 불거졌다. 마침 이 뉴스는 대권 후보자 경선 정국과 맞물려 상당한 논란을 불러오고 있고, 이에 따라 확인되지 않는 각종 뉴스도 매일 쏟아지고 있다. 각 언론의 취향에 따라 사건을 대하는 논조도 상당히 다르다. 동일한 사건인데도 이 언론이 제기하는 이슈가 다르고, 저 언론이 제기하는 논조도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 사건을 해부하고 수사를 하는 사정기관은 검찰이다. 검찰의 최종 발표만 들으면 되고 그것을 믿으면 된다. 그런데도 각 언론들은 제각각 다른 해석을 내고 편의에 따라 범죄를 재구성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사건의 실체는 최종적으로 하나로 귀결 될 것이 빤한데도 여기저기를 마구 들쑤신다. 사람의 인체에 비유하면 환부가 한군데 임에도 마치 멀쩡한 부위에도 병이 들었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애써 병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만신창이의 환자로 만들어 버리고 말겠다는 악의마저도 보여주는 언론과 세력들도 활개를 치고 있다.

수사결과 확실하게 나타난 환부에 대해서는 다시는 같은 환부에 재발이 되지 않도록 엄중한 조치를 그때 취해도 결코 늦지 않다, 지금은 병이든 환부가 사실인지 아닌지 정밀 진단을 하고 있는 중에 있다. 그래서 당분간은 집도의의 정밀 검색에 맡겨둘 수밖에 없다. 이상돈 위원이 이 사건에 있어 박근혜 역시도 피해자라고 했다. 이상돈의 이 발언은, 만약 이 사건이 사실로 판명이 났다고 가정을 할 경우에라도, 개인 간에 은밀하게 이루어진 일이라면 책임자로서는 사전에 전혀 알아낼 방도가 없었기 때문에 결국에는 당시의 책임자였던 박근혜도 피해자에 해당될 수밖에 없다는 해석으로 읽혀지기도 한다.

언론의 사회면에 심심찮게 보도되는 경리 직원의 횡령 사건도 무척이나 은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장이 그 경리 직원 책상 옆에 바짝 붙어 앉아 일일이 업무를 공유하기 전에는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는 아무리 그 회사의 사장이라고 해도 경리직원의 횡령 사실을 알아 낼 방법은 없을 것이다.

가령, 어느 회사에서 경리 직원이 공금을 횡령 했을 경우, 그 경리 직원은 자신이 맡은 업무가 출납과 장부를 정리하는 직무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겉으로는 아무도 모르게 깜쪽 같이 해치웠을 것이고 한참이나 시간이 흐른 뒤에야 다른 이유들로 인해 횡령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을 때만이 그 회사의 사장도 알게 될 것이므로 사장도 피해자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를 이상돈 위원이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공천헌금 문제는 박근혜 후보에게 있어 악재인 것만은 부인할 수가 없다. 그러나 때로는 악재가 호재로 바뀌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치유를 잘 해야 하고 재발 방지를 제도적으로 확실하게 해야 한다. 이런 후속 조치들이 관전자들로부터 신뢰를 받게 될 때, 악재를 호재로 바꾸는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관전자들은 이 사건의 결말을 예의주시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사건의 결말 뿐 아니라, 이 사건의 결과가 몰고 올 경선 정국의 여파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지금 세간에서는 이 사건과 관련된 각종 설(設)과 심지어는 음모론마저도 제기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지금은 그 어떤 예단도 금물이다.
석우영 논설위원 기자 stone6200@yahoo.co.kr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