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희씨 금품 수수 특검 도입 거론

  • 등록 2008.08.03 21:34:38
크게보기

야권,靑-與 부도덕성 연결, 특검 촉구

 
▲ 공천 댓가 금품수수 혐의로 구속된 김옥희씨 
야권은 李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언니 김옥희씨가 공천을 받게해주겠다며 거액을 수수한 혐의로 구속된 것과 관련, "청와대와 정부가 이번 사건을 "개인비리"로 축소하려는 것이 아니냐"며 특검 도입의 필요성을 거론했다.

靑-與의 부도덕성 연결, 특검실시 촉구

야권은 야권은 김 여사 사촌언니의 비리에 강한 의혹을 제기하고, 이 사건을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부도덕성으로 연결시키며 특검실시를 촉구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한나라당은 역시 부패원조당"이라면서 "한나라당은 우리 정치를 돈 정치로 몰아넣었던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획기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청와대 민정라인이 검찰에 수사를 요청한 것은 수사 범위를 한정해 이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 비리를 파헤치기 위해 특검 실시 여부를 심도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공선법상 정당공천 관련 "금품 주고 받을 수 없어"

민주당은 이 사건의 성격이 김종원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의 공천 로비이지만 청와대와 정부가 개인비리로 축소.은폐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검찰이 금융조사부에서 공안부로 사건을 이첩시키지 않으면 특검 추진 여부를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최재성 대변인은 돈을 준 사람이 李 대통령, 한나라당과 돈독한 인연이 있는데 청탁의 대상으로 김 여사의 사촌언니를 선택했다는 점, 모든 공천관련 비리가 공안부에 배당됐는데 이 사건만 금융조사부에 배당한 점, 돈을 준 사람이 현찰 30억원을 동원할 재력가가 아니라는 항간의 소문을 들어 돈의 주체가 누구인지 등에 의혹을 제기했다.

최 대변인은 "공직선거법을 보면 누구든지 정당공천과 관련해 금품을 주고받을 수 없다고 돼있다"며 "김종원 이사장이 공천과 관련해 금품을 주었고 김옥희씨는 금품을 받은 사실이 확인된 만큼 공직선거법 위반인 데 검찰은 사기죄로만 다루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비례대표 공천 과정을 소상히 밝혀야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비례대표 공천 과정을 이번 기회에 소상히 밝힐 수 있도록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며 "이번 사건은 친인척 비리인 동시에 제도적 비리이기 때문에 바로 잡아 깨끗한 정치가 뿌리내려야 한다"고 엄정수사를 촉구했다.

박 대변인은 "30억원이란 많은 돈이 어디로 어떻게 흘러갔으며 실제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를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면서 "한나라당은 비례대표 공천 과정을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 박승흡 대변인은 "서울시의원까지 역임한 "정치빠꼼이"가 영부인 사촌언니만 믿고 30억원을 주저없이 뿌릴 수 있었을지 의혹투성이"라며 "30억 공천헌금 사기사건은 75세 할머니의 작품이 아니라 그 윗선이 개입했을 것이라는 너무나 상식적인 판단을 내리게 된다. 검찰은 대통령 친인척이 연결된 사건인 만큼 한 줌의 의혹도 없이 파헤쳐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창조한국당 김지혜 부대변인은 "대통령의 친인척 관계를 이용해 매관매직을 시도한 것은 용납될 수 없다"면서 "이번 기회에 한나라당 비례대표 공천 과정에 대한 철저한 수사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與, 사칭해 돈 받은 사건, 권력형 비리와 거리 멀다

한편 여당인 한나라당은 30억 수수 혐의로 구속된 김윤옥 여사의 사촌 김옥희 씨에게 돈을 건넨 서울시 버스운송조합 이사장 김 모 씨가 다른 라인을 통해 공천 로비를 벌였다는 일부 야당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차명진 대변인은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직 검찰이 수사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지만 당 관계자 등에게 돈을 건넨 사실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조윤선 대변인도 "이번 사건은 청와대에서 먼저 확인하고 검찰에 보낸 사건인데다, 공천과 관련이 없는 김옥희 씨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처럼 사칭해 돈을 받은 사건인 만큼, 과거에 있었던 권력형 비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야권은 검찰이 이번 사건을 일반적으로 공직선거법 위반건을 다루는 공안부가 아닌 금융조사부로 배당한 것을 들어 검찰의 배후에서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사건축소를 지휘하는 것이 아니냐며 쟁점화할 태세다.
김응일 기자 기자 skssk119@naver.com
Copyright @2012 더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

PC버전으로 보기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로 328 010-4667-9908 서울아00313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보도자료soc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