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3년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는 내탕금(內帑金)을 들여 경복궁(景福宮) 북편에 정치적 독립 의지를 드러낸 건청궁(乾淸宮)을 짓기 시작하며 흥선헌의대원왕의 섭정(攝政)을 종식하고 친정(親政)을 시작하였는데, 근대 문물,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적극적인 외교통상정책으로 전환하였으며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는 1884년부터 건청궁(乾淸宮)에서 임어(臨御)하면서 정무를 처리했다. 수신사(修信使)는 1876년(고조 13) 조일조규(朝日條規:강화도조약) 이후 조선 정부가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단이며 1차 수신사(1876년 4월~7월)는 의례적인 일본 방문이었고 2차 수신사(1880년 5월~9월)는 강화도조약 이후 조선의 외교 통상에 걸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2차례의 수신사 파견은 개화정책에 영향을 미쳤고 통상(通商)과 문물의 수용을 담당하는 정부기구의 설립에 기초가 되었다. 영선사(領選使)는 1881년 서양의 과학기술 학습과 미국과의 통상(通商)에 대한 사전 교섭을 목적으로 청국에 파견한 유학생의 인솔사행이며 김윤식(金允植)·어윤중(魚允中) 등의 온건개화파들이 중심이 되어 중국이 도입한 서양 과학기술 및 병기의 도입과 학습을 위한 유학생을 파견하였으며
흥선헌의대원왕이 병인(1866)년 천주교 금압령(禁壓令)을 내려 프랑스 선교사 9명을 비롯한 천주교도 8,000여 명을 학살하였다. 조선을 탈출한 리델 신부가 중국 톈진에 주둔한 프랑스 인도차이나함대 사령관 로즈 제독에게 조선의 천주교도 학살을 알렸으며 보고를 받은 베이징 주재 프랑스 대리공사는 한반도 진격을 표명하였고 흥선헌의대원왕은 천주교도에 대한 탄압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변경(邊境)의 수비를 굳게 했다. 9월 18일 로즈 제독의 프랑스 군함 3척은 인천 앞바다를 거쳐 양화진(楊花津)을 통과하여 서강(西江)에까지 이르렀고 조선 정부는 어영중군(御營中軍) 이용희(李容熙)에게 표하군(標下軍) ·훈국마보군(訓局馬步軍)을 거느려 경인 연안을 엄중 경비하도록 했다. 10월 로즈 제독은 함대 7척과 600명의 해병대를 이끌고 부평부(富平府) 물치도(勿淄島)에 나타났다. 10월 14일 이 중 4척 함정과 해병대가 강화부(江華府) 갑곶진(甲串津) 진해문(鎭海門) 부근의 고지를 점거하였으며 프랑스군은 한강수로의 봉쇄를 선언하고, 16일 전군이 강화성을 공격하여 점령하고, 무기 ·서적 등을 약탈했다. 10월 26일 프랑스군 약 120명은 문수산성(文殊山城)을 정찰하려다
일본공사관은 1880년 11월 16일 돈의문(敦義門) 밖 청수장(淸水莊)을 이용하였으나 임오군란(壬午軍亂)으로 불타버렸고 일본공사관은 1882년 8월 16일부터 1884년 4월 16일까지 왜성대(倭城臺)에 있었다. 1884년 4월 17일 교동(校洞)의 박영효(朴泳孝) 저택(邸宅)을 임시 사용하였고 1884년 11월 3일 신축한 교동의 공사관 건물은 1884년 12월 7일 갑신정변(甲申政變)으로 소실(燒失)되었으며 1885년 1월 3일 경기감영(京畿監營) 선화당(宣化堂)에서 잠시 머물다가, 1885년 1월 12일 남산 왜성대(倭城臺)로 옮겼다. 미국공사관은 1883년 5월 정동(貞洞)에 세워졌으며 1882년 5월 22일 (美國)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고, 1883년 5월 19일 그 비준서를 교환하면서부터 한성의 정동에 공사관(公使館)이 설립되었다. 청국공사관은 1883년 10월 23일부터 충무로에 설치되었고, 상무총판(商務總辦) 진수상(陳樹裳)이 수장(首長)으로 있었으며 1885년 11월 원세개(袁世凱)가 주차조선총리교섭통상사의(駐箚朝鮮總理交涉通商事宜)라는 관명(官名)으로 부임했고, 공사관(公使館)의 명칭이 청국이사부(淸國理事府)로 변했다. 영국공사관은 1
1894년(고조 31) 7월 갑오개혁으로 관료의 등급이 1품에서 9품까지 정(正)·종(從)을 합하여 18품급(品級)이던 것을 1·2품에 정(正)·종(從)을 두고 3품에서 9품까지는 없애 11개의 품급으로 축소하였다. 1품에서 9품까지를 칙임관(勅任官)·주임관(奏任官)·판임관(判任官)으로 3대별하였으며 정1품에서 종2품까지를 칙임관(勅任官)이라 하였다. 왕손(王孫)·총리대신(總理大臣)·종친(宗親)은 정1품, 각 아문대신(衙門大臣)과 의정부 좌우찬성(左右贊成)은 종1품, 도찰원 도헌(都察院都憲)과 궁내부 및 각 아문(衙門) 협판(協辦), 경무사(警務使) 등은 정2품 내지 종2품으로 각각 보(補)하였으며, 이들을 칙임관(勅任官)이라 하였고 무관은 대장(大將)·부장(副將)·참장(參將) 등 장관급(將官級)이 칙임관(勅任官)이었다. 칙임관(勅任官)의 임명 절차는 중앙관은 총리대신(總理大臣)이 각 아문대신(衙門大臣), 의정부 좌우찬성(左右贊成), 도헌(都憲)과 만나서 협의, 후보자를 3배수로 천거(薦擧)하면 국왕이 이 중에서 임명하였다. 지방관은 총리대신(總理大臣)이 각 아문 대신 및 협판(協辦)·도헌(都憲)과 협의하여 후보자를 2배수 천거하면 국왕이 임명하였다. 189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1895년 경복궁을 습격해 고조 광무제와 대신들을 연금하고 건청궁에서 명성황후를 살해하는 전대미문의 만행을 저지르자 고조 광무제는 1896년 2월 11일 경복궁을 떠나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한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조 광무제는 1897년 2월 외국 공사관과 가까운 경운궁(慶運宮)으로 이어했다. 수옥헌(漱玉軒)은 1901년 지은 서양 건축양식의 황실도서관이며 1904년 경운궁에 화재가 일어나자 고조 광무제는 경운궁의 함녕전에서 중명전(重明殿)으로 거처를 옮겼고 1907년 7월 일제의 강요로 황제위에서 물러날 때까지 국사를 처리했으며 일제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위임하는 불법 무효한 을사늑약을 강제했다. 을사늑약 이후 외교권을 잃은 대한제국은 1907년 6월 1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2차 만국평화회의가 개최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일제의 강박에 의한 을사늑약의 무효를 국제사회에 알릴 기회라 판단한 고조 광무제가 1907년 4월 중명전을 찾은 이준에게 러시아 황제에게 회의 참석을 주선해달라는 내용이 적힌 친서를 전달했다. 대한황실역사관은 대한제국 고조 광무제의 편전 겸 침전으로 건립된 서양식 근대건축물이며 대한
고조어극40년칭경기념비(高祖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는 1902년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가 어극(御極) 40주년과 망육순(51세)에 기로소(耆老所)에 입사(入社)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비를 보호하는 비전(碑殿)안에 있으며 고조어극40년칭경기념비에는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가 대한제국(大韓帝國)을 건국하고 황제위에 등극한 것을 기념하는 의미도 담겨 있다. 비석은 귀부, 비신, 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신 앞면에는 대한제국 순종 융희제의 글씨가 있으며, 비문은 윤용선이 짓고 민병석이 썼다. 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건물로 기단 둘레에 돌난간을 설치했다. 비전의 남쪽에 설치한 문은 돌기둥을 세우고 철문을 달았는데, 문의 가운데칸에는 무지개 모양의 돌을 얹어 ‘만세문(萬歲門)’이라는 이름을 새겨 넣었다. 기로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 기구이며 국왕과 조정 원로의 친목, 연회 등을 주관하였으며 기로소는 1394년, 태조가 60세를 넘자 기사(耆社)라는 명예 관청을 설치하여 70세 내외의 2품관 이상의 관료를 선발하여 기사(耆社)의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임금 스스로도 이름을 올려
한성순보(漢城旬報)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신문으로 한문으로만 기사를 썼다. 1883년 8월 17일 고조 광무제는 통리아문 내에 박문국(博文局)을 설치하여 신문을 발간하도록 명하였다. 박문국 초대 총재에 외아문 독판인 민영목(閔泳穆)을, 부총재에 김만식(金晩植)을 임명하고 10월 31일 창간호를 발행하였다.한성순보는 열흘에 한 번 발행하는 순보였고 전체 지면 수는 18쪽이었으며, 제본되어 잡지 형태로 발행하였고 관보(官報) 성격을 띠었다.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으로 한성순보를 발행하던 박문국이 불타자 1886년 1월 25일 한성주보(漢城周報)로 맥을 이었다. 독립신문은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徐載弼)이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아 1896년 4월 7일 창간하였고 민중을 위해 알기 쉬운 한글 전용 신문을 만들었다.1897년 1월 5일자부터 국문판과 영문판(The Independent)을 분리하여 신문을 격일간으로 주(週) 3회 발행하였으며 국민을 위하여 무슨 일이든지 대변자가 되고, 정부가 하는 일을 백성에게 전하고 백성의 정세를 정부에 알릴 것이며 부정부패, 탐관오리 등을 고발할 것을 천명하였다. 1898년 5월 14일 서재필이 미국으로 돌아간 후 주필 겸
대한제국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는 1903년 어극(御極)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칭경식(稱慶式)을 전통예술극장인 협률사(協律社)에서 열었으며,경운궁(慶運宮)부터 협률사까지 행사 이동시 사용할 포드(Ford) A형 무개차 1대를 칭경식(稱慶式) 의전용 어차(御車)로 수입을 지시했다. 1902년 어극 40주년을 맞은 고조 광무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한 나라 잔치를 콜레라 발병으로 1903년 협률사(協律社)라는 극장에서 열게 되었으며, 칭경식(稱慶式) 기념 공연을 위해 팔도 광대들과 미기(美妓)들을 뽑아 미리 장악원(掌樂院)에서 풍악과 가무를 연습시켰다. 미국인 알렌을 통하여 샌프란시스코의 자동차 판매상 프레이저로부터 포드의 A형 4인승 무개차 1대를 어차(御車)로 수입하였다. 알렌은 1884년 대한제국에 와서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으며,최초의 서양 병원인 광혜원을 세워 신임을 받고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의 어의를 지냈다. 인천항에서 하역하고 1899년 개통한 경인선 철도를 이용하여 1902년 개통한 한강철교를 건너 남대문역에서 내려서 경운궁까지 가야 했으므로 칭경식이 끝난 후에 도착하였다.황제의 행차는 위엄이 있어야 하는데,차는 시끄럽고 빨리 달려 고조 광
대한제국 황궁 경운궁(慶運宮)은 임진왜란 뒤 선조가 세조의 큰 손자인 월산대군의 사저를 왕의 시어소(時御所)로 쓰면서 궁이 되었다. 1608년 선조가 승하한 뒤 광조가 이 곳에서 즉위하면서 경운궁이라는 궁호를 붙여주었다. 1623년 인조가 경운궁에서 즉위하였으며 1897년 대한제국 고조 광무제가 러시아 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이어하면서 비로소 대한제국 황궁다운 장대한 전각들을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큰 화재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고 1905년 태극전(太極殿)·석어당(昔御堂)·경효전(景孝殿)·함녕전(咸寧殿) 등이 중건되었다.경운궁과 경희궁 사이에 후원 상림원(上林苑)과 경운궁과 경희궁,경운궁과 의정부(議政府)를 연결하는 운교(雲橋),영성문(永成門) 포덕문(布德門) 대안문(大安門) 인화문(仁化門)이 있었다. 조하(朝賀)를 받는 정전 중화전(中和殿),고조(高祖) 광무제의 침전 함녕전(咸寧殿),고조 광무제가 등극한 태극전(太極殿), 귀빈을 접견하던 편전 덕홍전(德弘殿), 어진을 봉안하는 선원전(璿源殿),황실 도서관 중명전(重明殿),접견실·연회장 정관헌(靜觀軒),구성헌(九成軒),환벽정(環壁亭),순종 융희제가 등극한 돈덕전(惇德殿), 고조 광무제의 침실과 접견실
1897년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가 건국(建國)한 근대적 자주독립국 대한제국(Daehan Empire) 정부가 1899년 8월 17일 반포한 대한제국(大韓帝國)의 헌법적 법전의 명칭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였다.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는 총 9조로 구성되어 있고,대한국국제 1조에서 대한제국이 세계 만국의 공인된 자주독립국임을 밝히고 있으며 대한제국(大韓帝國) 황제(皇帝)의 육해군 통수권, 계엄령 발포권, 법률 제정·반포권, 문·무관 임면권, 외국과의 조약(條約) 체결권·선전 강화권·사신 파견권 등을 규정하고 있다. 한반도,간도에서 러일전쟁 발발 징후가 보이자 대한제국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는 러시아와 일본의 대한제국 침략 전쟁에 말려들지 않기 위해 1904년 1월 23일 국외 중립을 선언했다. 일본제국주의는 1904년 2월 8일 러일전쟁 도발과 동시에 대한제국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고, 대한제국 황성을 공격하여 황궁 경운궁을 점령한 뒤 1904년 2월 23일 대한제국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대한제국 영토를 일본의 군사기지로 제공하는 한일의정서를 강제 늑결하고 독도를 비롯한 전국의 군사 요충지를 강제 점령했다. 대한제국 영토를 군용지로 하는 한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