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추진하게 되는 여성공무원 경쟁력 강화 프로그램은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기획, 인사, 후생복지, 교육, 평정, 여성정책담당 부서가 한 팀이 되어 여성공무원의 의식변화 교육, 근무성적 평정․승진 등 인사제도 개선, 기능직 여성공무원의 업무능력 강화, 여성공무원 후생복지 향상을 위해 추진하게 된다. 1. 근무성적 평정과 승진 등 인사제도 개선 인사제도는 남성 간부공무원들에 비해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여성공무원들에 대한 보직, 평정, 승진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 ① 여성정책관(준국장) 신설 ∙ 여성정책, 여성일자리, 양성평등, 보육․아동 등 여성분야 활성화 ② 여성 발탁 특별승진제도 강화 : 여성 MVP공무원 선발 신설 ∙ 매년 경상북도 MVP 및 시책유공 공무원 선발시 여성공무원 분야 ∙ 직급별로 선발하고 근무성적 가점 또는 특별승진 ③ 여성공무원 임용목표제 및 발탁 승진 실시 ∙ 5급 이상 일반직 여성공무원 목표 관리 철저 <여성공무원 임용목표제>(행정안전부 2차 계획 ‘07~’11) ∙ 승진후보자 명부에 등재된 6급 여성공무원 우선 승진 : 10%이내 ∙ 승진후보자외의 자 앞 순위 여성발탁 직무대리 승진 : 4급, 5급 ④ 여성공무원 도⇔중앙 간 인사교류 적극 실시 ∙ 여성공무원 승진 자원 중앙부처 교류시 5급 승진 우대 ⑤ 올해의 ‘신바람 여성공무원’ 선발 : 경북도청 공무원노동조합 ⑥ 「일 중심」의 부서 배치 확대 등 여성공무원 보직 강화 ∙ 여성공무원 우대에 따른 무사안일, 보신주의, 매너리즘 등에 빠지지 않도록 격무부서 배치 등 철저한 ‘일 중심’의 보직 운영으로 의식구도 변화 유도 ∙ 일자리, 투자유치, 통상, 미래전략, 기획, 예산 , 건설, 의회전문위원실 등 사업부서와 전문부서 배치 2. 기능직 여성공무원 경쟁력 강화 추진 ❍ 기능직 여성공무원들의 일반직 전환과 연계하여 업무수행 기본능력을 배양하고 의식변화를 위한 정신교육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① 일반직 전환시험 합격자 특별 신규임용 교육실시 : 2월 6일부터 ∙ 2011 도시군 일반직 전환시험 합격자 170명, 1개월 과정, 기본직무 및 소양교육 ② 기능직 공무원 직무능력 배양을 위한 특별교육과정 운영 ∙ 도본청 기능직 여성공무원(일반직 전환 응시 희망자 우선) 대상 ∙ 3개월 과정, 공무원 기본직무 및 소양교육 등 ③ 일반직 전환시험 합격자 도⇔시군간 인사교류 실시 ∙ 특별 신규임용 교육 수료 후, 도 인근 시군과 1:1 파견인사 교류 3. 여성공무원 파워-업(Power-Up) 특별교육 실시 ❍ 교육은 여성공무원들의 잠재력과 발전가능성 등 강점을 발견하고 혁신을 실천해 나가기 위해 3단계(시작하기→발견하기→혁신하고 실천하기)로 추진할 계획이다. ❍ 1단계는 도청내 근무하는 470여명 전체 여성공무원이 함께 시작하는 마인드 함양 교육을 실시하고, 2단계는 7급이하 실무급 여성공무원들을 대상으로, 3단계는 5․6급 중견간부 여성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상․하반기로 나누어 긍정적 조직문화로의 변화를 위한 경쟁력 강화 특별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다. 4. 여성공무원 사기진작 지원 ❍ 여성공무원들에 대한 근무여건 개선을 통해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가기 위해 ▶ ‘3자녀 여성공무원 우선 입소’ 항목 신규 반영 등 다자녀 여성공무원에 대한 「도청 어린이집」운영 개선과 ▶ 출산여성공무원에 대한 출산용품 지급 격려 등 축하 이벤트와 출산휴가에 따른 대체인력 조기지원제 시행, 부모휴가제 신설 등 육아공무원 인센티브 부여 ▶ 미혼 여성공무원 ‘싱글탈출 한마당, 2011년에 마련한 ’출산․육아 여성공무원을 위한 우대 방안‘ 확대 시행 등 다양한 지원책도 함께 펼쳐갈 계획이다.리고 밝혔다. 경북도는 이번 여성공무원 경쟁력 강화 추진 계획을 ❍ 여성공무원 파워-업(Power-Up) 1단계 시작하기 교육과 기능직공무원 일반직 전환 시험 합격자 특별신규임용교육 등은 1~2월 중에 실시하고, ❍ 일반직 전환시험 합격자 도와 시군간 파견교류 인사는 3월 중에 추진하는 등 계획을 단기적 추진과제와 장기적 추진과제로 나누어 1월말 부터 발 빠르게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
❍ “경북도가 앞으로 여성공무원들이 양성평등의 사회에서 능력과 실적에 따라 함께 참여하고 책임지는 공직문화를 만들고, 미래 지향적 여성인재 육성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하고, ❍ “3월 중「여성정책관」을 신설하는 등 이번 계획을 통해 장기적으로 여성 공무원들이 고위 관리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여성공무원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