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국가기록원에 없고 실종됐다는 검찰 발표와 관련, 새누리당이 민주당 문재인 의원에 대해 칼날을 세웠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사진)는 4일 오전 국회에서열린 '국정감사' 사전준비회의에서 "사초폐기가 드러나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했던 문 의원은 일언반구도 없다"며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최 원내대표는 "사초 실종의 전말이 의도적인 폐기로 드러났다"며 "연산군도 하지 않은 사초 폐기는 국기를 문란케 하고 국가기강을 뒤흔들고 후대에 큰 오점을 남길 전대미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국가기록물이 참여정부 시절 어떤 정치적 의도로 삭제, 은폐된 것이라면 이는 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일”이라며 "대한민국의 중요한 국가기록물이 정부공적관리체계에는 이관되지 않고 개인의 사적공간(봉하마을)에 감춰졌는데 이는 사초폐기에 이은 사초절취"라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그는 "민주당이 봉하(마을) 이지원의 접속을 막았던 이유도 사초절취행위가 들통날까봐 막으려한 것"이라며 의혹을 제기했다.
새누리당 김기현 정책위의장도 이날 회의에서 "그간 민주당과 문 의원은 노무현 정부가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에 분명히 이관했다고 했지만, 여야 합동조사팀이 기록원에서 대화록을 찾지 못하자 이명박 정부가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폐기했을 것이라고 뻔뻔스럽게 주장했다"고 꼬집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민주당과 문 의원은 모든 의혹에 답해야하며 이에 따른 모든 정치적, 법적, 도의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책임론을 제기했다.
그는 또 "문 의원은 2012년 대선후보 당시 '제가 대화록을 최종 감수하고 그것을 정부보존기록으로 남겨두고 나온 사람입니다'라고 말했다"면서 "대선 때는 본인이 가장 잘 안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발 빼고 도망치면서 적절한 사람 운운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그는 "민주당의 '그때그때 달라요' 땜질식 궤변이 도를 넘어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며 민주당을 질책했다.
[더타임스 소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