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대변인 주재로 열린 이번 회견에는 대통령실 출입 기자단은 물론 지역 언론인과 외신 기자들이 함께했고, 질의응답은 △민생경제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분야 순으로 진행됐다.
민생경제: “모든 국정의 출발점은 국민 생활비 완화”
이 대통령은 “30.5조 원 규모의 추경안을 마련해 소비 진작과 지역경제 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며 “인공지능·반도체·문화 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선 “신규 신도시보다 기존 택지 활용과 공급 속도를 높이는 데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으며, ‘5극 3특 체제’를 언급하며 “수도권 일극 체제를 완화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이끌겠다”고 설명했다.
주 4.5일제와 관련해선 “노동시간 단축은 시대적 과제”라며 “공론을 통한 점진적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치·외교·안보: “야당과의 대화 열려 있어…검찰 개혁은 국회가 중심”
국정 운영 기조에 대해 이 대통령은 “정치적 편향을 피하고 국민 전체를 대표하는 통합의 국정을 수행하겠다”며 “공직사회는 특정 성향보다 국민을 중심에 둔 방향으로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검찰개혁과 관련해선 “수사권과 기소권의 분리는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국회에서 제도적 결단을 내리기를 기대하며, 정부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준비를 하겠다”고 밝혔다.
외교 전략에 대해서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을 바탕으로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를 펼치고, 북한과는 대화와 협력의 통로를 복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한일관계에 대해선 “과거사 문제와 협력은 분리해서 접근해야 하며, 김대중-오부치 선언과 같은 공동 문서를 추진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일본의 납치자 문제 등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협력 가능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고 답했다.
사회문화: “지역·소수자·청년을 위한 제도적 보완 고민 중”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관련해선 “2차 이전에 대한 세부계획은 부처 정비 이후 마련할 예정”이라며 “지역 간 형평성과 수용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의정 갈등과 관련해서는 “전 정부의 불통이 문제였으며, 신뢰 회복을 바탕으로 의료계와 대화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차별금지법에 대해서는 “민감한 사안이므로 사회적 논의가 선행돼야 하며, 국회 중심의 공론화가 바람직하다”며 “생활동반자법 등 중간 단계 입법도 검토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대통령의 자세: “제도 아닌 실천으로…국민 주권 정부 완성할 것”
마무리 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대통령 1시간은 국민 5,200만의 1시간과 같다”며 “증명의 정치, 신뢰의 정치로 국민의 간절한 열망에 응답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정 지지율에 안주하지 않고 낮은 자세로 국민과 직접 소통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회견은 2시간 이상 진행됐으며, 언론계와의 가감 없는 소통을 통해 국정 전반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자 한 첫 대국민 메시지로 평가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