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은 8일 국회 브리핑을 통해 "한반도 대운하 건설에 따른 고양시 터미널 개발방안"이라는 11페이지 분량의 문건을 공개하면서 이 문건이 고양시에서 작성됐다고 주장했다. 관계자, "요지의 보고 내부회의 있었던 것 기억" 대운하의 밑그림이 추상적인 수준을 넘어 보다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또 향후 대운하 추진에 대한 정부의 방침이 선다면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는 준비가 바닥에서부터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고양시(시장 강현석, 한나라당)가 개발방안을 검토하게 된 배경과 관련, "인수위에서 계획중인 한강과 낙동강을 잇는 경부운하 노선계획 중 우리 시 지역에 행주터미널, 이산포터미널이 유력해 연계사업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고 문건에서 밝혔다. 강현석 고양시장은 "자신에게 보고된 것도 없고 자신이 직접 작성지시를 내린 적도 없다"고 부인, 그러나 고양시 고위관계자는 "정부와 호응해 우리가 행동을 취할 필요가 있다는 요지의 보고가 내부회의에서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야권, 일제히 "밀실 추진 중단하라" 촉구 통합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8일 당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고양시가 비밀리에 대운하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며 "총선후 여론수렴을 통해서 추진여부를 결정하겠다던 정부의 해명이 또다시 거짓말임이 드러났다"고 비난했다. 차 대변인은 "어디까지 우리가 거짓말을 들어야할 지 모르겠다"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대통령 지시만 떨어지기 기다리고 있는 것"이라며 맹비난했다. 그는 "총선이 끝나면 국회 다수의 힘을 빌어 바로 착공하겠다는 정권의 계획이 현실로 드러났다"며 이같이 밝히고 "여론 수렴을 하겠다는 대운하 추진이 왜 그렇게 비밀이 많은지 모르겠다. 양시는 대운하 비밀추진계획의 전모를 밝히라"고 촉구했다. 이 지역구인 최성 의원은 "인수위와 대운하 예정지 지자체들과 비밀리에 대운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하는 것"이라면서 "환경재앙, 국민혈세 재앙, 지역경제에 걸림돌이 돼 결국 "제2의 IMF"를 초래할 수 있다"며 밀실 추진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청와대 중앙정부, "밀실에서 비밀리 추진" 통합민주당 노은하 선대위 부대변인은 "대운하 계획이 정부의 밀실추진에 이어 지자체 차원에서도 광범위하게 준비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며 "고양시는 이명박 정부의 눈치보기에 전전하지 말고, 민생치안과 민생경제부터 챙겨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보신당 심상정 후보는 "언론에 공개된‘고양시의 대운하 터미널 비밀 문건’은 덕양구를 대운하의 화물 하치장으로 만들겠다는 비밀 계획이 담겨 있다"며 "누구의 지시로 밀실에서 비밀문건을 작성했는 지 전모를 밝히라"고 고양시장에 촉구했다. 심 후보는 또 "대운하 추진은 입체적"이라며 "청와대를 비롯한 중앙정부가 밀실에서 비밀리에 추진하고, 지방자치단체 특히, 한나라당 시장들에 의해 밀실에서 구체적 추진 계획이 착착 진행되고 있음이 증명됐다"고 주장했다. 고양시, "작성한 바 없는 문건 확인 주장" 이 문건에는 작성 주체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진보신당측은 "문건에 "우리시"라는 표현이 적시되어 있고 대외비 표시가 되어있는 것 등으로 미뤄 고양시에서 작성한 것이 틀림 없다"고 주장했다. 총 11페이지의 문건에는 한반도 대운하의 필요성과 개요, 주요 효과, 고양시 터미널 유치 계획 및 여건분석, 개발 구상 및 경부운하 계획도 등이 포함돼 있다. 문건에 기록된 작성시점은 인수위의 한반도대운하 TF팀이 활동하던 2008년 1월이다. 그러나 고양시는 이 문건은 시에서 작성된 문건이 아니라며 강력히 부인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시의 각 부서에 문의해본 결과 시에서 작성한 바 없는 문건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하며 "어떤 기관과도 대운하 관련한 문건 작성에 관해 논의한 바도 없다"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