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대표는 이날 정오 직전 유정복 의원만 대동하고 청와대에 도착, 박재완 청와대 정무수석이 정문에서 박 전 대표를 영접해 식당으로 안내했고, 박 전대표가 식당에 도착한 뒤 곧이어 이 대통령이 들어와 악수를 나눴다. "배석자 없이 철저한 보안속에 회동" 그 후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배석자 없이 회동했다. 이날 회동은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채 회동하는 모습도 청와대가 찍어 언론에 공개할 정도로 이날 회동은 철저한 보안 속에 진행했다. 이날 회동 시간은 당초 예상됐던 시간보다 길어졌으나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간의 양자회동이 성과없이 서로 간의 입장차만 확인, 사실상 실패 당 내홍이 파국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과 회동 후 오후 4시 자신의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 대통령과의 회동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브리핑을 갖었다. 李대통령 "복당 거부감 없다. 당 알아서" 박 전 대표는 친박 복당 문제에 대해 "대통령의 개인 생각은 어떠신가하고 질문했다"며 "거기에 대해 대통령께서는 "개인적으로는 복당에 거부감은 없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당이 알아서 할 문제다"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복당 문제를 결정함에 있어 한나라당이라는 공당이 공식적인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잘못이다" 라는 말씀을 하셨다"며 "이에 대해서는 "당의 공식적 절차를 밟아 당이 결정해야 한다는 권고를 하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이 대통령의 복당 언급을 전했다. 박 전 대표는 이같은 이 대통령의 언급에 "공식적인 결정을 전대까지 무한정 끌고갈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복당에 대해 거듭 우회적 압박을 가했지만, 이 대통령은 "물론이다"라고만 짤막히 답했을 뿐, 추가 언급은 없었다. 쇠고기문제, "국민 납득할 수 있는 대책 필요" 박 전 대표는 회동에서 쇠고기 문제와 관련해 "국민들이 정부를 믿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것은 국민의 소리를 잘 들어야 될 일이지, 이것이 이념문제라든가 이런 것은 아니다"며 촛불집회를 좌파 선동으로 인식하는 정부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쇠고기 문제와 관련, 사실이 아닌 잘못된 얘기들도 많이 있지만 동시에 지난 협상 과정이나 대처 과정에있어 잘못된 부분도 많이 있는 거 아닌가"라며 "그렇기에 이 문제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만한 대책이 필요한 데 공감하고 그렇게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고 박 전 대표는 전했다. 친박연대, "검찰 편파수사 의혹 제기" 주장 박 전 대표는 친박연대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 "친박연대에 대해 편파적이고 표적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지만 특정지역에 대해 진행되고있다"며 "이런 것, 야당 탄압하는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은 이 정권에도 하나 도움되지 않는다"고 편파수사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심지어는 친박 수사와 관련해 청와대가 매일 검찰에 전화를 넣는다는 이야기도 공공연하게 있다"며 "이거 잘못된 거 아닌가"라며 불쾌감을 표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알아보고 잘못된 것은 바로잡겠다"고 말했다고 박 전 대표는 전했다. 박 전 대표는 이 날 회동에서 대통령이 당 대표직이나 정부 고위직을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그런 말씀은 없었다"고 말했다. 민심 정확히 파악, "제대로 하는 게 중요" 박 전 대표는 "이번 회동으로 대통령과 어느정도 신뢰회복이 됐냐"는 질문에 "뭐 애초에는 신뢰를 했죠. 그런데 신뢰를 깬게 제가 깬게 아니잖는가"라고 반문했다. 박 전 대표는 "대통령이 되면 민심과 동떨어진 보고를 받는다든지 밑에서 일어난 일을 잘 모를 수 있다"며 "민심의 소재를 정확히 파악하고 잘못된 보고를 듣지 않고 의사소통을 제대로 하는 게 중요한게 아닌가"라고 대통령을 향해 언급했다. 그는 특히 "복당 문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공당인 한나라당이 공식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잘못"이라며 "이에 대해 당의 공식 절차를 밟아서 결정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당 최고위원회의의 공식 결정을 거듭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