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중대 결정, 친박계 "집단행동" 표면화 친박연대와 무소속연대의 복당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양측이 잇따라 당선자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당 체제 정비에 나서는 한편, 조만간 두 세력간 원내교섭단체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박 전 대표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원구성 협상 추이를 보면서 6월 중순에 논의하자"며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친박계들은 "집단행동"이 표면화 되고 있다. 친박 측근은 "복당에 대해 당이 전혀 배려하지 않고 있다"며 분개하고 "5월말 시한이 지나갈 경우 박 전 대표로서는 어떤 결정을 내릴 수 밖에 없다"며 박 전 대표가 다음 주초에 자신의 입장을 밝힐 것임을 시사했다. 친박연대-무소속연대 교섭단체 구성 제기 친박연대는 복당과 관련한 일체의 공식적인 언급은 피한채, 30일 양평에서 1박2일 당선자 워크숍을 열고 쇠고기 파동과 개원 이후 정국 상황 등을 논의했다. 무소속연대도 내달 3일 국회에서 별도의 당선자 워크숍을 갖고 교섭단체 구성 등과 관련한 입장을 정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양측 모두 복당이 지연될 경우 "교섭단체 구성"에는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무소속연대 유기준 의원은 "복당문제가 지연되거나 만일에 거부하는 경우에 별도의 방법을 강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친박연대와 무소속연대가 협력을 해 교섭단체를 구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교섭단체 구성을 시사했다. "다음주중 우리 입장을 표명하겠다" 주장 친박연대 송영선 대변인은 "일괄복당의 원칙에는 전혀 변함이 없다"며 "당이 조만간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경우 다음주중 우리의 입장을 표명하겠다"고 주장했다. 지난 27일 박근혜 전 대표는 한나라당 홍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서 "오는 31일까지 복당문제에 대한 당의 공식입장을 결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지난 29일 있었던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는 "복당 대상자를 선정하는 기준과 방식을 6월 중순에 결정하자"며 사실상 박 전 대표의 요구를 거부하면서 5월末 복당은 물건너 갔다. "친박계 집단 행동, 현실화될 가능성 높아" 홍 원내대표도 자신의 임기가 시작되는 "30일과 31일 양일간 최선을 다해보겠다"며 복당문제 해결에 자신감을 나타냈으나 강 대표의 완고하게 고수하자 뒤로 물러서는 모습을 보였다. 복당과 관련, 6월 2일 한나라당 최고위에서 복당에 대한 공식 입장이 나오지 않고 다시 원구성 협상 추이를 봐가며 하자는 소극적인 입장이 나올 경우 친박계의 집단 행동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홍 원내대표가 "6월 15일"이라는 구체적인 시한까지 거론한데다 그 사이 홍 원내대표와 박 전 대표간 극적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교섭단체 구성은 여전히 유동적인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