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3일만에 서울을 점령" 전쟁초기 북한은 T-34전차 242대, 자주포 176문, 공군기 211기 등 많은 공격용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한국군은 전차는 물론 자주포와 전투기 한 대도 없었다. 북한군은 우세한 군사력으로 개전 3일 만에 수도 서울을 점령하고 두 달도 채 안되어 낙동강선까지 남진했다. 우리 국군은 군사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온 국민과 함께 총력전으로 북한 공산군에 대항하여 싸웠다. 유엔은 북한의 불법남침을 응징하기 위해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안을 결의했고, 이에 따라 21개국이 유엔의 깃발아래 한국을 지원했다.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이 서명 됨으로써 3년 10개월에 걸친 전쟁은 막을 내렸다. 北, 한국전쟁 美 계획 전쟁 우겨 그러나 북한 조선로동당 기관지 로동신문은 한국전쟁 발발일인 25일을 하루 앞둔 24일 한국전쟁은 미국의 계획에 의한 침략전쟁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로동신문은 "계획적으로 추진된 미제의 조선전쟁 준비책동"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제는 전쟁도발 준비를 빈틈없이 갖춘데 기초해 1950년 6월 25일 불의의 북침공격으로 조선침략전쟁을 도발했다"고 미국에 의한 북침이었다고 주장했다. "잊혀져만 가는 6.25 동란의 상처" 미합중국은 한국전에서 한국과 한국인을 위해 귀중한 목숨을 바친 전사자들에게 이런 비문을 바쳤다. "미합중국은 조국의 부름을 받고, 생면부지의 나라, 일면식도 없는 낯선 사람들을, 침략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기꺼이 나선 아들과 딸들에게 삼가 경의를 표합니다". 2차 대전이 끝난 이후 냉전을 계속해 온 동서의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간의 충돌은 극동의 한반도 에서 6.25 전쟁은 그 규모나 결과만으로 우리 역사 이래 가장큰 전란이다. 전쟁이 끝난지 58년이 지난 오늘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국 전쟁을 잊어버렸는지도 모른다. 더욱 미국조차도 한국 전쟁을 잊어가고 있을 것이다. 전쟁으로 인한 인명는 국군 전사 141,011명, 국군 전상 717,083명, 유엔군 전사 36,772명, 민간인 사망 244,763명, 부상- 229,625명, 행방불명 363,212명, 미군은 한국전에서 56,000여명의 생명을 잃었고, 11만5천여명의 부상자를 냈다. 제24사단장인 딘 소장이 중상을 입고 포로가 됐다. 밴프리트 장군이 아들을 잃었고,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아들을 바쳤고, 클라크 UN사령관도 아들을 바쳤다. 워커 중장이 아들과 함께 참전했다가 목숨을 잃었다. "6.25 누가 일으켰나" 일본? 미국? "6.25가 일어난 해를 알지 못한다" 56.8%. "6·25는 누가 일으켰나" 미국 13.5%, 일본 13.4%, 행정안전부가 중.고생 1016명을 조사해 그제 발표한 "안보.안전의식 설문" 결과다. 다섯 중 한 명이 6.25를 일본군이나 미군이 우리나라를 쳐들어온 전쟁으로 여긴다는 얘기다. 6.25를 북한이 일으켰다고 제대로 답한 학생은 48.7%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중·고교생 57.1%가 안보에 가장 위협적인 국가로 미국이나 일본을 꼽았다. 북한은 24.5%에 그쳤다. 미국은 6.25 때 5만4000여명이나 전사했지만 우리 청소년들은 미국을 북한과 똑같이 적대시하고 있다. 2004년 "주적(主敵)이 누구냐"는 질문에 육사 입학생 중 34%가 미국, 33%가 북한을 꼽은 것이 우연이 아니다. 쉽게 망각해 버리는 시대 흐름에 그 누가 비극의 6.25 남침 전쟁을 바로 가르킬 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