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대표의 이같은 언급은 "쟁점법안 강행처리에 앞서 먼저 국민적 동의가 필요하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언급은 한나라당이 시사한 쟁점 법안 일괄처리라는 강경 방침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연말연초 입법전쟁 과정에서부터 줄기차게 여당의 ‘밀어붙이기’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박근혜 전 대표는 미디어법 등 쟁점법안 처리와 관련해 "자신의 입장은 전에도 얘기했듯이 그 입장 그대로"라며 강행처리에 대한 반대입장‘원칙론’을 재확인했다. 지난 2일 청와대 오찬회동에서도 “쟁점 법안일수록 국민들의 이해를 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칙을 강조한 바 있다. 결국 2월 임시국회 막판에 박 전 대표가 다시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박 전 대표는 공청회장을 나오면서 재차 기자들과 만나 ´직권상정이 국민의 공감대를 얻지 못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더 이상 이야기 할 게 없다”며 "국민적 동의"를 강조했던 원칙론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여당내 야당"으로 불리는 박 전대표에게 분명한 입장 표명을 해 줄 것을 주문하고 나섰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회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말을 아끼는 분이 있다. 바로 박근혜 전 대표”라며 “박 전 대표가 묵언수행을 하는 게 아니라면 책임 있는 정치 지도자로서 위기상황에 처한 국회 상황에 대해 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 대변인은 이어 “박 전 대표가 ‘이미 밝혔다’ ‘당 지도부가 슬기롭게 해결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했는데, 이는 답이 아니다”며 “MB악법 처리에 은근슬쩍 동조하는 게 아니라면 확실하게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MB악법 처리에 대해서, 직권상정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한나라당의 날치기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지 분명히 밝히라”고 거듭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