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에 따르면 23일 "최근 박 전 대표를 사석에서 만났다는 측근과의 전화통화에서 "박 전 대표가 강경진압에 대해 굉장히 화가 많이 난 것 같다"면서 "농성 25시간 만에 진압이 이뤄졌는데 강경진압이 너무 빨랐다는 생각이 분명했다"는 분위기를 전했다"고 보도했다. 또 "박 전 대표가 "왜 그렇게 빨리 진압에 들어갔는지 이해할 수 없다" "왜 그렇게 기다리지 못했는지 잘 모르겠다"는 말을 하며 안타까움을 표시했다"고 전하는 등 속전속결로 특공대를 파견한 정부의 대응을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 측근은 "그렇게 급한 일이었느냐, 순식간에 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될 수 있느냐"면서 비통한 심정을 감추지 못했고 "이렇게 돼서 어떻게 하느냐. 정말 걱정"이라며 향후 상황에 대해서도 깊은 우려를 표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원희룡, "대통령 대국민사과 불가피" 원희룡 의원도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사과도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오전 불교방송에 출연해 "생존차원에서 저항에 나서고 있는데 이것을 강경진압 위주로 갔을 때 앞으로 더욱 더 국정운영이 어려워지고 돌발 악재가 얼마든지 터질 수 있다는 심각성을 청와대나 당 지도부도 느끼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원 의원은 또 "진상규명과 책임자 추궁은 동떨어진 문제가 아니"라며 "(진상규명과 동시에)안전대책을 충분히 세우지 않은 채로 25시간 만에 진압해서 6명이라는 사망사태를 빚은 것 자체가 지휘라인에 책임이 있고 책임지지 않고는 넘어갈 수 없어 즉각 책임자 문책을 해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 장관은 직접 보고를 받거나 지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만약에 명령이나 지휘승인 사실이 없다고 한다면 장관까지 책임을 묻는 것은 야당공세이지, 여당 입장에서 보면 곧바로 받아들이기는 지나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 의원은 "생존 벼랑 끝에 몰린 서민들이 생계대책 또는 생존대책, 정부의 어루만짐 이런 것들을 요구하면서 나올 때 설사 형식적으로 법을 어긴다 해도 근본적인 것은 민생을 챙기고 국민을 위로하는 데 정부가 주력해야지, "시장에 맡긴 일" "나라도 못할 일" "법은 어기면 안된다"면서 강경하게만 나가면 제2, 제3의 용산 사태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원내대표도 지난 20일 당 긴급최고위원회의에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 등 책임자 문책이 시급하다고 발언하는 등 시위자들에게 떠넘기기에 급급한 한나라당의 기류가 바뀔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