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 여러분과 당원, 국민들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법리만 강조하며 침묵으로 일관한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과 지도부의 대응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사건은 지난 4월 11일 공식 접수되었으며, 중앙당 여성위원회는 피해자 보호를 위한 즉각 분리조치와 외부 진상조사기구 구성을 요청했으나, 중앙당은 이를 수용하지 않고 윤리위·인사위에 회부하는 절차만 고수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피해자는 업무배제조차 되지 않은 상태에서 2차 피해에 노출됐고, 조력자들에겐 침묵각서 작성 강요 등 부당한 압력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여성위원회를 비롯한 당내 주요 조직과 200여 명이 넘는 당원들은 성명서를 통해 “당은 사건 발생 이후 20일이 지나서야 뒤늦은 사과문을 냈을 뿐, 철저한 진상조사나 피해자 요구 수용은 미진하다”며 지도부의 쇄신을 촉구해왔다.
김 의원은 “당내 힘센 자들의 절차주의와 권위주의가 약자에 대한 위력형 가해를 야기하고 있으며, 피해자와 조력자들은 계속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부에서는 이 사태를 바로잡으려는 의원과 당원들을 마치 당권을 노리는 세력인 것처럼 공격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한 2차 가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저는 당권이나 지위에 관심 없다. 문화산업을 살리고 한 사람의 눈물이라도 닦아주는 일을 하고 싶다”며 “사람으로서의 양심과 의원으로서의 책임감으로 피해자 편에 설 것이며, 위력과 외압에 굴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절차보다 사람이 우선이어야 한다. 조국혁신당은 지금이라도 피해자 중심의 쇄신을 시작해야 한다”며 “약자를 짓밟는 권위와 위력, 침묵의 구조와 결별하고 민주주의 본연의 정신을 회복해야 한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