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崔益鉉)은 1868년 10월 경복궁 중건의 중지, 취렴정책(聚斂政策)의 혁파, 당백전(當百錢)의 폐지, 사대문(四大門) 문세(門稅)의 폐지 등을 주장하며 흥선헌의대원왕을 비판했다. 1873년 11월 상소하여 만동묘(萬東廟)의 철폐를 비롯한 흥선헌의대원왕의 실정을 통박하고, 하야를 요구했다. 이를 계기로 10년간 집권해온 흥선헌의대원왕이 물러나고 고조 광무제가 친정을 하게 되었다. 1876년 1월 일본과의 통상조약 체결이 추진되자 일본과의 강화(講和)는 일본의 위협에 굴복하는 것으로 무한한 탐욕을 당해낼 수 없고 일본과 교역하게 되면 반드시 경제적 파탄을 초래할 것이며 양인(洋人)의 사교(邪敎)가 들어와 우리의 전통적 질서를 무너뜨릴 것이라는 이유로 궁궐 앞에 엎드려 화의를 배척하는 상소를 올렸다. 1894년 6월 경복궁 쿠데타가 일어나고 갑오개혁이 단행되자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려 친일 개화파 정권을 적으로 규정하면서 개화정책의 전반적 폐지를 요구했으며, 박영효(朴泳孝)·서광범(徐光範) 등 개화파의 처단과 역적들을 비호하는 일본에 대한 문죄를 요구했다. 1895년 8월 명성황후 살해사건이 일어나고, 11월에 단발령(斷髮令)이 내려지자 포천
조만식(曺晩植)은 1913년 이승훈의 초빙을 받아 정주의 오산학교 교사로 취임했다. 이후 오산학교 교감을 거쳐 1915년 교장이 되었고, 1919년 2월 3·1 대한광복운동을 위해 교장직을 사임하기까지 무보수로 민족교육에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3·1 대한광복운동 직후 보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1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평양 감옥에서 옥고를 치르고, 1920년 1월 만기를 1개월 앞두고 가출옥했다. 그해 10월 다시 오산학교 교장으로 취임했으나, 일제가 교장 취임을 승인하지 않아 1년 만인 1921년 4월 사임했다. 같은 해 5월에 숭실전문학교 강사로 2년간 봉직하는 동시에 평양 기독교청년회(YMCA) 총무로 취임해 1932년까지 활발한 사회운동을 전개했다. 1922년 오윤선과 함께 물산장려회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어 국산품 장려운동을 전개했다. 1923년 김성수·송진우 등과 함께 연정회(硏政會)를 발기해 민립대학기성회(民立大學期成會)를 조직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실패했고, 1925년 4월 다시 오산학교 교장으로 취임했지만 1년 만에 6·10 대한광복운동으로 교장직에서 물러났다. 1926년 9월 평양의 숭인중학교 교장이 되었으나, 일제측의 교장 승인 거부로 192
임병직(林炳稷)은 1913년 이승만(李承晩)의 소개로 미국으로 건너가 오하이오주립대학에 입학했으며, 재학 중 한국학생평론을 창간하여 편집장을 맡았다. 이후 이승만이 하와이에서 설립한 한인중앙학원·한인기독학원 등의 육영사업을 지원했다. 1919년 국내에서의 3·1 대한광복운동 소식이 3월 중순 현순(玄楯)의 보고에 의해 미국 각 신문에 보도되기 시작하자, 4월 14일 필라델피아에서 이승만·서재필(徐載弼)·조병옥(趙炳玉)·장기영(張基永)·김현철(金顯哲)·류일한(柳一韓) 등 150여 명의 재미교포·유학생들과 함께 한민족의 자주독립정신의 앙양과 미국 여론을 환기시킬 목적으로 한인연합대회를 개최하여 서기장(書記長)으로 활약했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위원부에 근무하면서 대한국의 독립을 승인하라는 이승만의 친서를 일본공사관에 전달했다. 1920년초 이승만을 수행하여 상해 임시정부로 갔다. 1921년초 임시정부 외교부 참사 황진남(黃鎭南)과 파리·런던 등을 순회하며 유럽 각국에 일본 침략의 만행과 대한국 독립의 당위성을 호소하는 외교활동을 전개했다. 1941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재미한족연합회가 구성되자, 김호(金乎)·한시대(韓始大)·김병연(金炳淵)·송철(宋喆) 등과
[더타임스 여동활 칼럼니스트] 지난 17일 김정일이 사망한지 이틀이 지나도록 우리 정부는 아무 것도 눈치채지 못했다고 하는데 이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안보태세다.이런 경천동지할 정보를 사전에 파악을 못한 것은 정부의 엄청난 직무유기이며 지탄의 대상이다, 또 정보기관의 대북정보분석 능력도 궤멸수준에 가깝다.19일 처음 국내방송에서 예고뉴스가 나갈 때 멘트된 내용을 보면 분명히 북한내부에 심상치않은 움직임이 있었고 방송도 이전의 북한의 정규 프로그램과는 전혀 다른 낌새가 나타났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제강화’‘우상화’ 등 전혀 엉뚱한 추측과 해석만 내놓았을 뿐 ‘김정일사망 가능성’같은 정보를 사전에 감지하지 못한 정보기관은 분명히 그 책임을 통감해야 된다.아직 북한은 분명히 대한민국의 주적이다. 김정일 사망소식이 들려오자 방송언론들도 일제히 김정일을 추모하는지 아니면 북한정권을 위로하는지 재탕삼탕 뉴스를 내보내는 것을 보면 이해하기가 어렵다 ,북한은 대한민국을 적화하려고 남침을 도발했고, 수많은 국민들을 도탄으로 몰아간 당사자들이다. 휴전한지 50년이 지난 얼마 전까지 이유없이 민간지역에 포탄을 퍼부었고 군함을 격침시킨 당사자들의 괴수다. 아직도 그 전쟁의 상
여운형(呂運亨)은 1918년 결성된 신한청년당의 당수로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독립운동을 시작했고, 11월 미국 대통령 특사 크레인에게 대한국의 독립청원서 2통을 건네주어 윌슨 대통령에게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해줄 것을 부탁했다. 1919년 1월 파리강화회의에 신한청년당 대표로 김규식을 파견하여 대한국의 완전 자주독립을 호소했다. 4월 상하이에서 임시의정원을 설치하고 임시정부를 구성하고자 했을 때 정부의 구성에 반대했지만, 임시정부의 1차 내각의 외무부 차장으로 참여했다. 11월 일본 정부의 초청으로 도쿄로 건너가 하라 총리 등 정부 요인들과 회담하면서 대한국 독립의 정당함을 주장했고, 제국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일제의 대한국정책을 혹독히 비판하여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1920년 미국 국회의원 사절단 100여 명이 상하이와 베이징을 시찰하는 동안 임시정부의 대표로 안창호와 함께 이들을 만나 한국의 독립을 역설했고, 1921년 상하이에서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를 조직하여 한국 독립과 중국혁명과의 유대관계를 위해 노력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원동피압박민족대회(遠東被壓迫民族大會)에 참석하여 5인 주석단의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고, 레닌·트로츠키 등과 만나
이승훈(李昇薰)은 1907년 헤이그 특사사건이 일어나자 평양으로 갔다가 민중이 자각해야 한다는 안창호(安昌浩)의 연설을 듣고 뜻을 같이하기로 결심하고 용동에 돌아와 신식교육을 하기 위한 강명의숙(講明義塾)을 세우고 산술(算術)·수신(修身)·역사·지리·체조 등을 가르쳤다. 이어 교육과 실업을 통해 실력양성을 하여 독립을 이루려는 비밀결사인 신민회(新民會)에 참가하여 평북총관(平北總管)이 되었다. 같은 해 11월 24일 중등교육기관으로 오산학교를 열어 백이행(白彛行)이 교장이 되고 그는 학감이 되었다. 오산학교가 처음 개교할 때 학생은 7명으로 여준(呂準)과 서진순(徐進淳)이 수신·역사·지리·산수·법제·경제·체조·훈련을 가르쳤으며 학생들은 모두 기숙사에서 생활했다. 이후 이광수(李光洙)·이종성(李鍾聲)·조만식(曺晩植) 등이 부임하여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찬무회(贊務會)를 조직하여 학교의 재정을 마련했다. 1909년 8월 안창호의 발의로 청년들의 수양과 애국심 함양을 위해 설립한 청년수양단체인 청년학우회에 발기인으로 참가했다. 1911년 2월 안악사건(安岳事件)에 연루되어 1년간 거주제한의 형을 받고 제주도 유배 도중 105인사건이 일어나 많은 신민회 간부가 체포되
이강년(李康秊)은 1895년 8월 미우라 일본공사에 의해 명성황후가 살해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1896년 1월 11일 가산을 털어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친일적인 안동관찰사 김석중(金奭中)과 순검(巡檢) 이호윤(李浩允)·김인담(金仁覃)을 체포해 농암(籠巖) 장터에 운집한 군중 앞에서 효수(梟首)하였다. 제천으로 류인석을 찾아가 유격장이 되고 군사 1백여명을 이끌고 충주 수안보에 있는 적의 병참을 공격하였다. 이어 문경으로 진군하여 조령삼관문(鳥嶺三關門)을 차단하여 쳐들어오는 적을 물리치고 총기 탄환 60여 상자를 빼앗았다. 그 후 다시 제천으로 진군하여 싸웠으나 역부족으로 패하자 단양으로 후퇴하였다. 소백산으로 들어가 의병을 해산하고 단양 금채동에 은신하였으며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당하자 영춘(永春)에서 다시 의병을 일으켜 7월 제천으로 진군하여 원주 진위대(鎭衛隊)를 이끌고 봉기한 민긍호(閔肯鎬) 의진(義陣) 등과 연합하여 500여명의 적을 토멸하고 9월에는 싸릿재, 죽령(竹嶺), 고리평(故里平), 백자동(柏子洞) 등지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이 해 12월 13도 연합 의진(義陣)을 편성하자, 호서창의대장(湖西倡義大將)으로 참석하였다가
오동진(吳東振)은 1919년 3·1 대한광복운동에 적극 가담한 후 일본경찰의 추적을 받자 가족과 함께 간도 관뎬 현으로 망명하여 윤하진(尹河振)·장덕진(張德震)·박태열(朴泰烈) 등과 함께 광제청년단을 조직, 청년들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했다. 1919년 3월말경 변호사였던 안병찬(安秉瓚)과 함께 안둥현에서 대한청년단연합회를 조직해 교육부원으로 중국 동삼성(東三省)과 국내를 왕래하며 대중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1920년 2월 대한청년단연합회·한족회·대한독립단 등의 일부 인사들을 중심으로 임시정부 산하단체인 광복군사령부가 조직되자 제2영장(營長)으로서 활동했다. 그해 9월 이탁(李鐸)과 함께 전투부대인 광복군총영을 조직하고 총영장에 임명된 후 한성에 중앙연종처(中央聯終處)를 두고 각 도에 지영(支營)을 설치해 일본관리의 일소에 힘을 기울였다. 1920년 7월 미국 국회의원단이 우리나라를 방문하게 되자 독립에 대한 염원을 보여주기 위해 이탁·안병찬 등과 의논한 후 7월 상순경 안경신(安敬信) 등 3명은 평양, 정인복(鄭仁福) 등 2명은 신의주, 임용일(林龍一) 등 2명은 선천, 김영철(金榮哲) 등 3명은 한성으로 각각 파견했다. 한성 잠입조는 총독부 폭파를
신익희(申翼熙)는 1917년 보성법률상업학교 교수로 취임했고, 1918년 말부터 최린·송진우 등과 독립운동의 방향을 논의했으며, 3·1 대한광복운동 당시에는 해외와의 연락 임무를 맡았다. 1919년 3·1 대한광복운동이 일어나자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임시정부 수립과 동시에 내무차장·외무차장·국무원 비서장·법무총장·외무총장·문교부장 등을 지냈다. 내무부장 재임 중 8·15 대한 광복을 맞이해 귀국했으며, 귀국 후에는 김구 등 임시정부 요인들과는 노선을 달리했으며, 정치공작대·정치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정치활동을 했다. 신익희는 1946년 대한독립촉성국민회(大韓獨立促成國民會) 부위원장, 자유신문사 사장, 국민대학 초대 학장 등을 지냈으며, 남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의 의원에 당선되었다. 1947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南朝鮮過渡立法議院)의 의장이 되었으며, 이청천(李靑天)의 대동청년단(大同靑年團)과 합작, 대한국민당(大韓國民黨)을 결성하고 대표최고위원이 되었다. 1948년 5월 31일 구성된 제헌국회(制憲國會) 의원에 당선되어 부의장이 되었다가 같은 해 8월 의장 이승만이 대통령이 되자 의장으로 피선되었다.
손병희(孫秉熙)는 1910년 재정난에 빠진 동덕여자의숙(同德女子義塾)을 원조하고 같은 해 12월 보성학원(普成學院)을 인수했으며, 1912년 12월 동덕여학교를 인수했으며 지방의 7, 8개교를 직접 관할했다. 일본에서 귀국할 때 인쇄기와 활자들을 구입해 가지고 들어와 한영호(韓榮浩)·최석창(崔錫彰)·민건식(閔建植) 등과 협력하여 주식회사 보문관(普文館)을 설립하고 출판사업을 했다. 1910년 초 새로 창신사(彰新社)를 설립하고 당국과 교섭하여 종교적 논설과 교도 상호간의 소식 등을 게재한다는 조건하에서 천도교 기관신문인 천도교 월보를 발행했다. 1910년 말에는 보성학원 소속 인쇄소 보성사를 창신사와 병합하여 보성사로 확대하고 천도교 월보 및 학교 교과서 등을 인쇄·간행했다. 손병희는 오세창·권동진 등과 독립운동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한편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장 최린(崔麟)과 협의를 통해 독립운동의 대중화,일원화,비폭력 등 3개 원칙에 합의했다. 기독교·불교·천도교가 합작을 추진하여 3·1 대한광복운동을 준비했다. 천도교 내부에서는 1910년대 초부터 이종일이 천도교구국단을 조직하고 민중 봉기를 통한 독립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것을 건의하고 있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