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朴은 몰라도, 친李는 없다" 이명박 대통령이 총선 이후 벌어지고 있는 당내 계파간 갈등 확산조짐에 대해 "다음부터 저는 대통령에 출마할 사람이 아니며, 친박과 친이는 없다"며 "과거 친이였든, 친박이었든 한나라당은 이제 하나가 돼 국민이 기대하는 경제살리기를 이뤄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어떤 계보도 국민이 바라는 경제살리기 앞에는 힘을 쓸 수 없고 국민은 그러한 것을 기대하지도 않는다"며 "친이는 이제 없다. 친박은 있을지 몰라도"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당내 계파갈등에 대해 우려의 뜻을 나타냈지만 박근혜 전 대표와 한나라당 지도부간 복당을 둘러싼 갈등은 권력지형과 맞물려 있어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전통적 동맹관계 함께 해 나갈 것" 이 대통령은 "새 정부는 미국과의 전통적 동맹관계에서 핵문제 등 북한과 관련된 정책에서 함께 해 나갈 것"이라며 밝히고 "싱가포르의 북미 합의 내용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런 것을 포함해 북한이 한국을 제끼려는 전략은 성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새 정부 출범 후 지난 10년간 기존 틀이 새롭게 정립되는 조정기간을 거치고 있다"며 "정부는 북한 주민의 생활에 관심과 애정을 갖지 않을 수 없지만 북한도 진정성을 갖고 대화에 나서는 한편 국제질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미국측이 최근 핵 프로그램 신고와 관련된 북한과의 협상이 주요 고비에 이른 상황에서 북한을 실질적으로 핵폐기의 길로 나아가도록 한국의 협조를 요청할 경우에도 한국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도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임시국회 민생법안 처리해 줄 것" 요구 이 대통령은 이날 "정부는 총선에서 과반의석을 만들어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대한민국을 선진화하는 일에 전념하겠다"며 "기업이 마음 놓고 투자해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고 서민경제가 살아나도록 하는 일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를 위해 국회가 5월 중에 임시국회를 열어주시기를 요청한다"며 "이미 여야 간에 처리하기로 합의된 법안은 18대 국회의 개원까지 기다릴 것 없이 17대 국회 임기 중에 마무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미 FTA 법안의 국회 비준을 정치권에 거듭 요청하고 "한미 FTA 법안을 처리해서 미 의회로 하여금 서둘러 FTA 비준에 나서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는 농민들에 대한 후속 대책도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임시국회 소집" 요청, 야당 반대 입장 이 대통령이 회견에서 5월 임시국회 소집을 요구한 데 대해 제1야당인 통합민주당 유종필 대변인은“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약속한 대로 국민의 뜻을 받들어 타협과 통합, 경제 살리기와 민생 챙기기에 전념하기 바란다”고 언급했다. 민노당은 논평을 통해 “이 대통령이 밝힌 전반 내용에 대해 동의하기 어렵다”며“‘한미FTA 비준과 기업규제 완화’를 위해 5월 임시국회를 제안했지만, 이는 90% 서민을 위한 민생이 아니라 10% 재벌만을 위한 민생”이라고 주장했다. 진보신당은“새 정부가 들어서면 한미FTA의 내용을 따져 보고 보완 정책을 만들겠다고 했던 얘기를 벌써 잊은 것 같다”며“임기가 끝난 17대 국회의원에게 하자가 있는 물건을‘땡처리’해달라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라며 임시국회 개회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