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는 올해 190억원을 투입, 경지정리 완료 지구내 울퉁불퉁한 농로 등 정비가 절실한 493km 구간을 포장한다고 4일 밝혔다. 특히 사업비의 40%인 76억원을 콘크리트 대신 친환경자재인 자갈 깔기로 실시해 농경지내 통행불편을 해소키로 했다. 전남도가 친환경 자재인 자갈깔기를 추진하게 된 것은 농업인구 노령화로 농로 유지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과 국비 지원 또한 점차 감소추세여서 한정된 예산으로는 전체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가운데 자갈깔기가 콘크리트에 비해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적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황토, 흙 등의 친환경 포장에 대한 공법별 장단점을 비교 검토한 결과 시공단가, 시공시 문제점, 현지 적용성, 사후 유지관리 등의 문제점이 도출된 반면 자갈 깔기는 가장 낮은 비용과 유지 관리 용이성, 친환경 자재의 효율적 이용 등 최적 대안으로 분석됐다. 특히 경제적 측면에서 콘크리트 포장은 1km당 1억2천만원이 투자되는 반면 자갈깔기는 1km당 4천만원의 저렴한 단가로 동일한 농로포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과 농경지내 주변 경관 및 환경적 요소에 가장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간척지 등 연약지반은 자갈깔기로 노면 정비 후 콘크리트포장을 함께 실시토록 하고 그 외 노면 정비로 통행에 불편함이 해소되는 농로 구간은 자갈깔기를 확대 실시해 노면의 주행성과 평탄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계획이다. 주순선 전남도 농업정책과장은 “친환경농업의 육성 및 기반 구축을 위해 편리성보다는 친환경자재 활용에 초점을 맞춰 추진하겠다”며 “친환경 자갈 깔기 확대 시행으로 다수의 도민이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농편익 제공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남도는 지난해 자갈깔기 시행 완료지구인 나주 동강면 장동리 장동지구 등 191지구 250km에 대해 영농불편 해소 여부, 노면의 평탄성 유지, 주행성 향상, 수혜주민 호응도 및 만족도 등을 조사한 결과 사업시행 결과에 대해 매우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사업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추가 확대시행을 요구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이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9월 추가 정비대상지에 대해 재조사를 실시했고 조사 결과에 따른 추가 대상지를 자갈깔기에 반영해 유지관리 부재로 인한 영농 불편을 최소화 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