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광복절인 15일 추석 남북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6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이번 추석을 전후로 남북한의 이산가족들이 상봉할 수 있도록 북한에서 마음의 문을 열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14일 개성공단 남북 협상이 합의를 이룬 것을 언급하면서 "이번 합의를 계기로 과거 남북관계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 잡고, 상생의 새로운 남북관계가 시작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박 대통령은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의 지대로 만듦으로써 우리의 의식 속에 남아 있던 전쟁의 기억과 도발의 위협을 제거하고, 한반도를 신뢰와 화합, 협력의 공간으로 만드는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북측에 제안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우리는 한반도의 한쪽에서 굶주림과 어려움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을 외면할 수 없다"며 북측에 대한 인도적인 지원의사를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일본과 관련,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최근 상황이 한일 두 나라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며 "과거를 직시하려는 용기와 상대방의 아픔을 배려하는 자세가 없으면 미래로 가는 신뢰를 쌓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의 정치인들이 과거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용기있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며 "특히 과거 역사에서 비롯된 고통과 상처를 지금도 안고 살아가고 계신 분들에 대해 아픔을 치유할 수 있도록 책임 있고 성의 있는 조치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고려 말 학자 이암 선생의 '나라는 인간에 있어 몸과 같고, 역사는 혼과 같다'고 한 명언을 거론하며 "만약 영혼에 상처를 주고 신체의 일부를 떼어가려고 한다면, 어떤 나라, 어떤 국민도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독립유공자 및 유족과의 오찬에서 "우리 국민들이 올바른 역사관과 국가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자라나는 후손들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가 국민통합을 이뤄가기 위해서라도 우리 역사와 민족에 대한 자긍심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며 "특히 역사에 대한 인식을 두고 갈등과 분열을 부추기거나 철지난 이념을 잣대로 역사를 자의적으로 재단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아무리 아픈 상처 같아도 해가 지나면 조금씩 아물기 마련인데, 올해는 일본이 연일 과거로 돌아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일부 정치권 인사들이 해서는 안 될 말들을 거듭하는 것을 보면서 여러분의 아픔이 더 커졌을 것 같아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밝혔다.
[더타임스 소찬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