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창(李奉昌)은 1931년 1월 대한광복운동에 투신하고자 상해의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찾아갔으며 이봉창 의사는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의 김구 단장을 만나 일본 생활의 경험을 토대로 일왕 폭살(爆殺) 계획을 세우고, 일본인이 경영하는 철공소에서 일하면서 한달에 한번씩 김구 단장을 만나 거사를 준비했다. 1931년 12월 13일 한인애국단에 가입하고, 1931년 12월 17일 김구 단장의 전송을 받으며 동경으로 출발했다.동경에 도착한 이봉창 의사는 히로히토 일왕이 1932년 1월 8일 동경 요요키 연병장에서 열리는 신년 관병식(觀兵式) 참석 정보를 입수하고, 이 날을 거사일로 결정하고 김구 단장에게 전보를 보냈다. 1932년 1월 8일 앵전문(櫻田門) 앞에서 일왕(日王)을 향해 수류탄을 투척했으나 일왕 폭살(爆殺)에는 실패하였고 품안의 태극기를 꺼내 대한 독립 만세를 3번 외친 뒤 현장에서 체포된 이봉창 의사(義士)는 9월 동경 대심원(大審院)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0월 이치가야형무소(市谷刑務所)에서 순국(殉國)했다. 이봉창 의사의 의거는 일본 제국주의가 신격화해 놓은 일왕(日王)을 대상으로 하였고, 거사(擧事) 장소가 일제 수도 동경이었다는 점에서 비록 일왕
장지연(張志淵)은 1895년 명성황후 살해사건이 일어나자 을미독립운동의 궐기를 호소하는 격문을 지어 각지에 발송했다. 1897년 1월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던 고조 광무제의 경운궁 이어를 요청하는 만인소의 제소를 맡았고 2월 경운궁으로 이어한 고조 광무제에게 황제 즉위를 청하는 상소문의 초안을 짓고 독소(讀疏)를 맡았다. 1897년 7월 사례소 직원에 임명되었고, 9월 내부 주사를 겸직했다.1898년 4월 대한황성신문을 발행하는데 참여했고, 9월 남궁억과 함께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독립협회에서 이상재와 함께 활동했다. 독립협회에서 주관하는 만민공동회에 참여해 총무위원으로 활동하였고, 1899년 1월부터 8월까지 격일간 신문인 시사총보의 주필을 지냈다. 9월 황성신문 주필로 초빙되어 취임했다. 1900년 10월 시사총보를 출판사인 광문사로 개편, 설립할 때 참여해 편집원을 맡아 정약용의 목민심서,흠흠신서등을 간행했다. 1901년 황성신문의 주필로 초빙되었고, 1902년 8월 사장으로 취임했다. 1904년 3월 중추원에 연명으로 시정 개선을 촉구하는 정치 경장에 관한 주요 사항 55개 조항을 헌의했다. 1905년 4월 정6품 승훈랑의 품계를 받았고, 7
지석영(池錫永)은 중국에서 들여온 서양 의학서의 번역본을 많이 읽었고, 제너의 우두접종법(牛痘接種法)에 관심을 가졌다.1876년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온 박영선(朴永善)에게 종두귀감(種痘龜鑑)을 얻어 보았고, 1879년 10월 부산 제생의원(濟生醫院)에서 일본인 의사에게 2달 간 종두법(種痘法)을 배웠다. 1879년 겨울 충청북도 충주시 덕산면에서 최초로 40여 명에게 종두를 시술하였고 한성에는 종두장을 설치하였다. 1880년 2차 수신사 김홍집을 따라 일본에 건너가 우두종계소(牛痘種繼所)에서 두묘(痘苗)의 제조법을 배우고 두묘 50병을 얻어서 돌아와 종두법(種痘法) 보급에 힘썼다.성균관 전적(成均館 典籍), 사헌부 지평(司憲府 持平), 형조 참의(刑曹 參議)를 역임하였고 1885년 우두신설(牛痘新說)을 저술하였다.1890년대 후반 독립협회에서 활동하기도 하였고 1894년 김홍집에 의해 토포사(討捕使)로 동학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다. 1896년 동래 관찰사가 되어서도 종두법(種痘法)의 보급에 공헌하였으며, 1899년 경성의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고 1905년 신정국문(新訂國文) 6개조를 고조 광무제에게 상소하여 공포하게 하고, 학부 안에 국문연구소를 설치하게 하였
최재형(崔在亨)은 시베리아 노우키예프스크로 이주하여 러시아 군대의 어용상인(御用商人)으로 돈을 벌었고, 러시아 관리가 되어 두 차례나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가서 황제를 알현(謁見)하고 5개의 훈장을 받았다. 노우키예프스크 도헌(都憲)이 되어 연봉 3,000루블을 은행에 예치하여 그 이자로 매년 교포 학생 1명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유학시켰다. 러일전쟁 후 이범윤(李範允)과 상의, 국민회를 조직하여 회장이 되고, 이범윤을 중심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1908년부터 이듬해까지 산발적으로 두만강을 건너 함경북도 일대의 일본 수비대와 소규모 전투를 벌였다. 1910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간되던 대동공보(大東共報)가 재정난으로 폐간되자 재발행, 격렬한 논조로 일제를 규탄하고 독립을 절규하였다. 노우키예프스크 한족민회(韓族民會) 회장에 취임, 교포 자녀들을 위한 한인학교를 설립하였다.1919년 4월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재무총장에 임명되었고 11월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新韓村)에 본부를 둔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으며 1920년 4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 때 재러한인의병을 총규합하여 시가전(市街戰)을 벌였다.
민주당이 내년 총선과 대선의 승리를 위해 제기 된 ‘민주당 헌신론, 호남 물갈이론’에 대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가시화 되고 있다.손학규 대표가 야권통합을 이루는 마지막 조건은 “민주당의 헌신과 희생”이라고 강조한 가운데 민주당 호남 중진의원들의 잇단 탈(脫)호남 선언이 신선한 바람을 불러 오고 있다.[더타임스 장지연 칼럼니스트] 민주당 호남 중진의원들 중 가장 먼저 불을 지핀 사람은 전주 완산에서 4선 의원을 지낸 장영달 전 의원이다. 장 전 의원은 지난 6일 “진보세력이 영남의 민심을 얻지 못하면 내년 총선과 대선의 승리는 없다”며 경남 함안.합천.의령.지역의 출마를 전격적으로 선언했다.이날 그의 기자회견장에는 정세균 전 민주당 대표와 김근태 상임고문, 한명숙 전 국무총리, 이부영 전 의원등이 함께 참여해 장 전 의원의 결단을 높이 평가 했다.이어 정세균 전 민주당 대표가 서울 출마를 공식화 했다.정 전 대표는 전북 진안.무주.장수.임실.에서 4선을 지냈으며 2009년 대표시절 정동영 최고위원의 무소속 출마를 만류하기 위해 다음 총선에 지역구 출마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었다.정 전 대표는 손학규 대표의 ‘분당을’ 출마로 공석이 된 서울 종로구의 출마를 검토하
김가진(金嘉鎭)은 시문(詩文)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1877년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에 발탁되었고 1883년 유길준과 함께 외교통상 업무를 관장하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의 주사(主事)로 임명되었다. 1886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 修撰)이 되었다. 김가진은 개화정책을 주도하였는데 중국 양무운동을 시찰하였으며 주차일본공사관참찬관(駐箚日本公使館參贊官)에 임명되어 수년간 동경에 주재하였으며 이후 주일본판사대신(駐日本辦事大臣)으로 임명되었다. 공조판서(工曹判書)를 거쳐 1895년 농상공부대신(農商工部大臣)이 되었으며 개혁정책의 실무를 담당했다. 1895년 4차 김홍집 내각에서 상무회의소 발족, 건양협회(建陽協會) 창립에 가담하였다. 1896년 7월 2일 독립협회가 창설되면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독립문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으며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에 가담하여 헌의 6조의 실행을 촉구하였다.1904년 외무대신, 법무대신, 중추원 부의장을 역임하였고 대한자강회, 대한협회에 가담하여 적극 활동하였다. 1919년 3·1 대한광복운동이 일어나자 대한광복운동에 투신하였는데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대
남궁억(南宮檍)은 1887년 전권대신 조민희의 수행원으로 상하이에 갔고 궁내부 별군직을 역임하고, 1894년 내부 토목국장을 맡았으며 흥화학교에서 영문법과 국사를 가르치고 독립협회에 가입했다. 1896년 7월 2일 독립협회는 창립총회를 가졌으며 남궁억은 독립협회의 수석 총무와 사법 위원을 겸하였다. 1898년 황성신문사 사장이 되었고 1902년 러·일의 한국분할설과 러일협정을 공박하였으며, 성주목사와 양양군수를 역임하고 양양에 현산학교를 설립하고 1907년 대한협회 회장이 되었으며 1908년 교육월보를 간행하였고 관동학회 회장이 된다.1910년부터 8년간 배화학당 교사로 9년간 재직하였다. 일제가 민족 정기를 말살하기 위한 일장기, 벚꽃 보급에 항거해 모곡리의 감리교 전도사로 일하던 남궁억은 민족정신 고양을 위해 무궁화 묘목을 전국에 보급하였다. 1918년 강원도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 내려와 모곡 감리교회를 세우고 전도사로 목회하면서 더불어 교회 내에 4년제 보통학교를 설립하였다.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 정권의 대북정책은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햇볕정책으로 정의 할 수가 있다.그러나 이명박 정권은 이러한 햇볕정책을 얼음정책으로 철저하게 전환 시킴으로 인해서 남북관계는 최악을 맞고 있다고 단정 할 수 밖에 없다. 북한은 지금 김정길 위원장의 건강 문제와 김정은 으로의 세습문제 등으로 북한 내부를 결속시킴으로써 통제기능 강화 등 여러가지 정치적 목적으로 남북관계를 대결 국면으로 전환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겠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은 과거 정권의 대북정책인 햇볕정책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남북대결 구도를 부채질 하는 정책으로 한반도를 전쟁위기로 몰고가서는 안된다. 이제라도 이명박 정권은 대북정책을 어둠과 얼음의 정책에서 新햇볕정책으로 전환하는 길만이 남북이 공생하는 길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최근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중견 언론인 모임인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박근혜 대세론,은 지난 2007년 대선당시 이명박 대세론,과 유사한 형태로 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어떻게 보면 내년 총선과 대선을 관리해야 할 대표가 대세론을 내세워 특정인을 한나라당의 대권 후보로 규정하는 발언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러한 발언에 대하여 한나라
한규설(韓圭卨)은 1898년 중추원 의장이 되었으며, 독립협회가 고조 광무제에게 의원 설치를 건의하자 이에 호응해 새로운 중추원관제를 공포하게 했다. 11월 독립협회 지도자 17명이 체포되고 독립협회의 혁파가 논의되자 이들을 석방하고 민의를 존중하자고 주장했다. 법부대신에 임명되었으나, 1899년 정부의 반격으로 독립협회가 강제 해산될 때 해임되었다. 1901년 궁내부특진관에 임명되었고, 1902년 다시 법부대신이 되었다. 1904년 12월 미국에게 대한제국의 독립 유지를 위한 노력을 당부하는 고조 광무제의 밀서를 이승만(李承晩)·윤병구(尹炳求)에게 전달했다. 1905년 의정부 참정대신이 되었으며 일본 전권대사 이토 히로부미가 을사늑약을 강제로 늑결하려 하자 일제의 협박에도 불구하고 반대하다가 경운궁 수옥헌(漱玉軒)에 감금되고 면직당했다. 을사늑약 이후 중추원 고문 궁내부 특진관을 지냈으며, 1907년 4월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 소장이 되었다.
박정양(朴定陽)은 1881년 조사 시찰단(朝士視察團)의 일원으로 일본을 시찰하고 돌아와서 이용사(理用司)의 당상경리사(堂上經理司)가 되었다. 관제 개혁 등에 앞장섰으며, 1882년 대사성·이조 참판·좌승지를 거쳐 1883년에 기기국 총판(機器局 總辦)·내무 협판·협판군국사무·대사헌·협판교섭통상사무 (協辦交涉通商事務)·도승지·협판내무부사를 역임했다. 1887년 미국 특파 전권공사(全權公使)로 부임하여 미국 대통령 클리블랜드에게 신임장을 제정하는 등 외교활동을 하였다.1894년 호조 판서·교정청 당상(校正廳 堂上)·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갑오개혁으로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가 신설되자 회의원(會議員)이 되었다. 김홍집의 1차 내각에 학부대신이 되고 1895년 내각 총리대신이 되어 과도 내각을 조직했다. 1896년 아관파천이 일어나자 총리대신 서리와 궁내부대신 서리를 겸임했다. 9월 내각을 의정부로 개혁하자 참정대신(參政大臣)이 되고 1898년 독립협회가 주최하는 만민공동회에 참석하였다.11월 독립협회에 대한 황국협회(皇國協會)의 폭력탄압사건이 발생하여 개각이 되자 내부대신이 되었다. 온건중립파로 이상재(李商在) 등 개화파(開化派) 인사들을 돌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