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비준안 처리를 놓고 극한 대립을 하고 있는 여야 정치권을 향해 “타협할 수 있는 길을 스스로 모색하는 것이 정치의 본체이고 정치 지도자가 나아가야 할 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는 일방통행이 아니라는 점을 여야가 한번 더 깊이 인식해야 한다. 빨리 타협의 정치를 복원하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전날 한-미 FTA 비준안의 최대 쟁점인 투자자국가소송제도(ISD)에 대해 민주당에서 새 절충안이 마련되자 “오솔길이 보이기 시작한다”고 말했던 박 의장은 “오솔길은 바람이 불면 갈잎에 덮혔다가 또 길이 보이고 하지만 다 같이 걸어가면 큰 길이 된다”며 타협을 거듭 당부했다. “비준안 처리의 데드라인(시한)이 있느냐”는 물음에도 “데드라인을 정해놓고 하는 것은 전투이지 정치가 아니다. 기다려보자”고 말했다. 여야의 입장이 절충 노력에도 불구하고 평행선을 달리는 데 대해서는 “눈에 안보이는 진행 상황도 있으니 눈을 크게 뜨고 밑까지 샅샅이 살펴봐달라”고 했다. 박 의장은 직권상정 가능성에는 “직권상정을 꼭 요청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의장이 독자적 판단을 하는 것으로 정치권이 그것을 하라, 하지 말라 할 것은 아니고 의장이 필요하면 하고 필요 없으면 안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본회의가 거듭 미뤄지면서 민생법안이 표류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큰 걱정을 안해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창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