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위원장은 이날 서울 세종로 방송통신위원회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늘 저는 2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직을 사직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저의 사임발표가 갑작스러워 보이기는 하지만 지금이 제가 떠나야할 때"라며 "연초부터 제 부하 직원이 금품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 그러나 지난 20일 검찰에서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을 기소했지만, 부하직원에 대해선 지금까지 별다른 혐의가 나오지 않았다는 언론보도를 보았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최근 측근으로 분류되는 정용욱 전 정책보좌역이 EBS 이사선임 로비설, SKT 주파수 경매 3억원 수수 의혹, EBS 사옥 부지 선정 연루설, CJ의 온미디어 인수관련 청탁설에 휘말리면서 야당과 일부 시민단체의 사퇴압력을 받아 왔다. 정 전 보좌역이 김 이사장으로부터 억대의 금품을 받았다는 진정서가 검찰에 제출되는 등 본격 검찰 수사가 진행되자 사퇴 압력은 더 거세졌다. 특히 앞선 26일 한 언론에서 보도한 이른바 "종편 돈봉투" 파문이 사퇴 압력의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의혹 수준에 머물렀던 만큼 당시에 사퇴를 하는 것은 의혹을 인정하는 것으로 비쳐질 수 있고, 압력에 떠밀려 사퇴를 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어 이에 대해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위원장은 최근 검찰 수사과정에서 정 전 보좌역과 김 이사 간에 금품 수수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가 나오지 않자 적절한 사퇴시기로 판단하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최 위원장의 사퇴 기자회견이 끝난 직후 춘추관을 찾아 "지난 25일 최 위원장이 이 대통령에게 사퇴의사를 밝혔다"면서 "이 대통령이 만류 했으나 "지금이 사퇴의 적기"라며 거듭 간곡하게 요청해 수락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종편 돈봉투" 파문이 사퇴를 결심한 결정적인 이유가 아니냐는 지적에 "이미 돈봉투 사건이 터지기 전인 25일에 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며" 무관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 듯 최 위원장은 "말이란 참 무섭다. 소문을 진실보다 더 그럴듯하게 착각하게 만든다"며 "특히 이 과정에서 방통위 조직 전체가 자긍심에 큰 상처를 입어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고 통탄했다. 그러면서 "저로 인해 방통위 조직 전체가 외부로부터 부당한 공격을 당하거나, 스마트 혁명을 이끌고 미디어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주요 정책들이 발목을 잡혀선 안된다"며 "저의 퇴임이 방통위에 대한 외부의 "편견"과 "오해"로부터 벗어나는 계기가 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방통위 가족들이 지난 4년간 보여주신 헌신과 노고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한국 방송통신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이 있기를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묵묵히 성원하겠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지난 1964년 동양통신 기자로 언론계에 발을 들인 뒤 1965년 동아일보로 옮겨 방송뉴스부, 정치부, 국제부, 지방부 기자 등을 거쳤다. 이후 1993년 편집국 부국장을 지낸 뒤 1994년에는 한국갤럽 조사연구소 회장을 지냈다. 2008년 이 대통령 취임 이후 제1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지난해 3월부터는 2기 위원장직에 연임돼 그동안 종편 선정 작업 등을 수행해왔다. 한편, 청와대는 최 위원장이 사의를 표명한 만큼 후임인선에 즉각 착수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방송통신위원장 자리가 대단히 중요한 자리이고 공백이 길어지면 안되는 만큼 후임 인선작업에 즉각 착수 하겠다"면서 "방송통신위원장은 방송과 통신에 관한 인식과 의식이 있어야 하고, 청문회도 통과해야 하는 만큼 결격사유가 없는 사람으로 인선 하겠다"고 밝혔다. 권순익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