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즈] 현대자동차 노조가 오늘 새 집행부 수장으로 줄곧 합리성을 추구해온 이경훈 후보를 선택했다. 눈이 뜨이고 귀가 열리는 듯한, 참으로 현명한 결정이다. 이번 선거운동을 통해 이경훈 당선인은 “금속노조를 바꾸지 않으면 현대차 지부도 무너진다”며 금속노조의 개혁과 인적 쇄신을 주장했다. 기자회견에서도 “금속노조에 대한 원성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며, “한국형 산별노조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가 새로운 리더를 맞아, 작게는 민노총을 개혁하고 크게는 한국의 노조 역사에 새 지평을 열어가기를 열망한다. 현대차의 이같은 선택은 개인기업에게도 희망이지만, 정치투쟁에만 몰입해 온 민노총에 대해 민간노조가 새로운 변화를 요구했다는데 더 큰 의미가 있다. 그동안 현대차 노조는 민노총의 핵심사업장이자, 금속노조의 중추역할을 해 왔다는 점에서 이번 현대차 노조원의 지혜로운 결단은 민노총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산하노조들이 연쇄적으로 탈퇴해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민노총에 어쩌면 회복 불가능한 치명타를 주게 될 지도 모른다. 비록 공무원 노조가 최근에 급히 수혈을 해 주긴 했지만, 근본적으로 공무원 노조는 사익을 추구하는 민노총과는 조화를 이룰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다. 공무원은 헌법상 정치적 중립의무를 지켜야 할 뿐만 아니라, 노조운동의 가장 큰 목적인 임금인상의 경우 공무원급여는 노사협상의 결과가 아니라, 법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 금원이 국민의 세금 아닌가! 앞으로 민노총이 살 길은 역설적이지만, 현대자동차 노조에서 찾아야 한다. 투쟁 일변도의 강성노조에서 벗어나, 합리성을 추구하며 임금과 근로조건, 근로환경 개선 등 노동조합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야만 한다.자유선진당 대변인 박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