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타임즈] 지난 10월19일 시민정치운동을 표방하는 ‘희망과 대안’이 창립됐다. ‘희망과 대안’은 “풀뿌리 운동의 성과에 기초해 정치를 아래에서부터 바꾸어 나가겠다”며 “내년 지방선거 때 직접 후보를 내거나 좋은 후보를 선정해 지원하겠다”며 만든 단체다. 2000년 낙천-낙선 운동의 2010년판을 전개하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그러한 이 단체의 창립선언문을 보면 핵무기로 대한민국을 위협하는 북한에 대해서는 한마디 말도 없으면서 우리 정부가 북한에 대해 대결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한 내용은 친북단체들이 보여주고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또 MBC의 거짓 방송으로 촉발된 광우병 사태에 대해서는 “심각한 민주주의의 불균형 상태가 지속되자 참지 못한 국민들이 직접 나서고서야 일시적 균형을 회복”한 사례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절실한 것은 법치주의 확립이라는 것을 애써 부정하려는 민주당과 다름 아니다. 특히 “현재와 같은 심각한 민주주의의 후퇴와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여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를 한걸음 더 진전시키기 위해 나선다”고 밝힌 창립선언문의 끝머리는 ‘민주 반민주’라는 20년 전의 낡은 틀로 오늘의 현실을 재단하면서 “민주주의가 실종됐다”며 시국선언을 주도한 전교조와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모두 사회를 혼란으로 몰아가는 지금까지의 좌파단체들과 맥을 같이 하면서도 뭔가 새로운 단체인 것처럼 포장하고 나선 그들이 과연 우리 사회를 위해 ‘희망’과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지 의심스러운 대목들이다. 이 단체에 참여한 이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러한 ‘우려’가 단순한 ‘기우’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들 가운데는 지난 10년 동안 이런 저런 정부 위원회 위원 자리를 꿰차고 앉아 쏠쏠한 재미를 보거나, 자기가 사실상의 오너로 있는 이른바 시민단체에 정부지원금과 공기업들의 광고를 유치해 호시절을 구가했던 사람들이 적지 않다. 특히 광우병 사태를 비호하고 4대강 살리기 사업, 미국산 쇠고기 수입협상, 미디어 관련법 개정 등을 반대하는 시국선언들에 열심히 참여한 인사들이 이 단체의 중심부에 있다는 것은 ‘희망과 대안’의 정체성을 짐작하고도 남게 한다. 그런데도 몇 몇 언론에서는 이들이 새로운 간판을 들고 나오자 ‘정치활동과 일정한 거리를 둬온 시민사회진영’운운해 가며 이들의 앞길에 레드 카펫을 깔아주려 안간힘이다. 가소로운 얘기다. 한 마디로 이들은 자신의 주장과는 달리 국민의 선택에 의해 출범한 합헌정부를 흔들고, 대한민국의 헌법적 가치에 반하는 단체들과 연대하면서, 우리 사회의 거버넌스를 약화시키는 네거티브하고 부정적인 운동을 해 온 사람들이 주축이다. 아무리 그럴듯하게 포장해도 그들의 정치행보는 ‘권력의 금단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한 좌파기득권자들의 롤백 시도’에 불과할 따름이다. 그 이기적인 시도를 ‘희망’이니 ‘대안’이니 하는 요설로 포장하는 것은 그들의 자유라고 치자. 하지만 이제는 ‘시민’이나 ‘국민’이라는 말을 자신의 투쟁 도구로 삼는 행위는 그만두기 바란다. 그들에게 동의하지 않는 다수 국민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그런 말을 전유(專有)하려 드는 것-그것이 바로 반(反)민주고, 독재고, 파시즘이기 때문이다. 더타임스 소찬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