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대표가 하루 만에 "원칙"을 접고 입장 변화를 바꾼 상황이 석연치 않기 때문이다. ▣박근혜, "아무런 조건 없이 무조건 신뢰" 박근혜 전 대표가 24일 공천심사위 구성을 둘러싼 친이-친박 갈등을 아무런 조건도 달지 않고 무조건적 신뢰를 바탕으로한 결심으로 전격 양보하고 물러섰다. 박 전 대표는 이 당선인과의 회동에 대해 매우 만족했고, 그후 박측근들이 반대하던 이방호 사무총장을 공심위에 포함시키는 인선까지 양보했다. 그러기에 모종의 "빅딜"이 있었다는 말들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일촉즉발이던 당내 분위기가 돌연 하루만에 신뢰하는관계로 돌변한 것이다. 이 당선인이 박 전 대표에게 "지분협상"을 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당선인, "공천 80여 자리 약속했다" 설도 박 전 대표 내부에서도 “이 당선인이 공천 80여 자리를 약속했다”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어느 선까지 물갈이를 전제로 박 전 대표 지분을 인정했다는 뜻이다. 박 측 인사는 "최근 박대표를 모셨던 사람들 사이에선 여기와 저기는 이미 우리쪽 몫으로 분류됐다는 말이 구체적으로 돌고있다"고 한다. 이 당선인측과 협상을 맡았던 김무성 최고위원은 여러 차례 대화하면서 많이 쌓였던 오해를 풀게 됐고, 서로 이해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친박측에서는 "국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한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고 우려하는 사람도 있다. <동아일보>가 지난 22일 "박 전 대표 측이 이 당선인 측에 공천보장 희망자 명단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양측 모두 보도를 부인했지만, 이 당선인측이 지난 경선에서 박 전 대표를 위해 뛴 사람들의 "보장"을 인정하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박근혜, "5년 후 대권 도전할 기반 마련" 만약 "이면합의설"이 사실이라면 친박계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후에도 당내 세력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박 전 대표로서는 또한번 차기 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이처럼 친박계에 대한 공천보장설로 인해 당내 갈등이 마무리 된 것은 아니다. 친이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며 친박계가 장악하고 있는 지역구를 노리고 있는 이 측근들의 반발이 있을 것으로 보여 당의 공천갈등은 아직도 불씨가 살아 있다. ▣"아직도 불씨가 남아 언제 재점화될지" 또한 한나라당에 공천을 신청하려 했던 거물급 인사들도 공천에 대한 불만감을 내포하고 있어 그 파장이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역구별로 이-박 양측인사들이 격돌하거나 계파끼리 경쟁하는 곳이 많아 조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유를 불문하고 박 전 대표의 판단으로 인해 당내 갈등은 화합 분위기를 타고 있지만, 아직도 남아있는 불씨가 언제 재점화될지 예측불가능하다. ▣한나라당 공천심위 "안강민 손에 달려" 공천심사위원 인선을 두고 양측이 일촉즉발 상태로까지 대치하던 한나라당 내 친이-친박계는 강재섭 대표가 추천한 공심위원장 후보에 대해서는 아무런 문제 제기를 하지 않았다.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이 4.9 총선에 나갈 한나라당 ‘대표선수’를 가려내는 공심위의 수장이 된 것이다. 안 위원장 정도면 당내 계파의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고 칼 같은 원칙을 적용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친이계 5명, 친박계 2명, 중립인사 4명으로 공심위원을 구성했다. 앞으로 공심위 내부에서도 한치의 양보 없는 공천 대결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이제 안강민 위원장의 몫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