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




[칼럼] 다시 사람으로…기억·책임·연대 위에 짓는 미래
[ 김덕엽 칼럼니스트 ]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 정권은 바뀌었고, 외교도 달라졌지만, 과연 본질은 변했는가? 강제동원, 위안부, 역사 왜곡, 유해 미수습 등의 문제들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반복되는 갈등은 단지 협상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오래도록 외면해 온 질문 때문이다. "외교는 누구의 것인가." 이 질문은 점점 더 날카로워지고 있다. 정치와 관료가 외교를 독점하는 시대는 지나가고, 기억을 품은 시민들이, 책임을 묻는 유족들이 연대를 행동으로 바꾸는 활동가들이 지금 이 시대의 외교를 다시 설계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단순한 과거사의 반복을 넘어서 ‘포스트기억(Postmemory)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는 당사자가 아닌 세대가 기억을 이어받고, 그 기억을 자기 언어로 재구성하여 행동과 연대의 외교로 확장하는 시대다. 장생탄광 문제를 비롯한 수많은 역사 현안은 이제 피해자 가족과 활동가, 연구자, 청년들의 손에서 새로운 언어로, 새로운 방식으로 호명되고 있다. 올해 한국과 일본의 잠수사들이 함께 바다로 들어간 장생탄광 공동조사는 이러한 ‘기억의 실천’이자, 포스트기억 세대가 보여준 책임의 시민외교의 대표적 상징이었다.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