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의원들, "먼 산만 바라보고 있어" 애당초 "친박계"가 존재 했었는가. 아니면 각자의 사심에 따라 움직이었는가 친박들에게 의문을 던져 본다. "박근혜"란 이름만을 빌려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인물들이 아닌가 그런 의심을 품게된다. 이 처럼 긴박한 상황에서도 손발이 제각각 따로 놀고 있으니 말이다. 이번 한나라당 공천 물갈이는 "박측 죽이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무자비하게 당했으면서도 당사자들인 친박계 의원들은 먼 산만 바라보고 있는 실정이다. 박근혜 도움이 아니면 자생하지 못하는 그런 아류가 아닌가 판단된다. (김응일) 이 정도의 난국이라면 분명 만사를 제쳐두고라도 단합이 되어야 했다. 죽기살기로 한나라당과 일전을 벌여야함에도 전체 박근혜 계가 한군데로 묶이지 않고, 제각각 움직이고 있는 현실을 볼때 측은 한 생각이 든다. 홀로 자생의 길을 걸어가려는 친박들이 과연 얼마나 금뱃지를 얻을수 있을까. 모든 친박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뭉쳐도 될까 말까한 현실에서 "따로국밥" 신세가 되어 자멸의 길을 나서고 있다. 나약한 친박들, "차기 대권" 이룰 수 있나" 각자 처한 입장과 지역정서가 다른점도 있겠지만 제각각 출마해서 과연 살아 돌아올 수 있겠는가. 정치를 한두해를 한 의원들도 아닐진대 이 어찌 행동들이 패잔병들과 같은가. 이런 상황에서 친박계들은 모두 하나 같이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이 말이 참말인지 의아심을 가지게 한다. 제 갈길도 찾지 못하는 이런 나약한 친박들로 무슨 차기 대권운운하며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를 하겠다는 것인가. 총선에서 박근혜의 이름을 팔아 자신만 살려고 하는 말이 아닐까. 박근혜를 진정 차기 대권주자로 만들겠다는 사람들이 단합하지도 못하고 각자의 길을 걷는단 말인가. 이런 친박들이 얼마나 살아 남을수 있고, 또한 "대통령 만들기"를 말할 수 있는가. 더욱 가관인 것은 친박의 좌장급인 김무성 의원의 말이다. "무소속 출마를 통해 꼭 당선돼 한나라당으로 돌아와 이재오 의원과 이방호 사무총장을 숙청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으나 그 뜻이 너무나 황당하기만 하다. 박근혜, "정도와 원칙의 당찬 모습 사라져" 그토록 멸시를 받고 팽당한 처지에 "한나라당으로 돌아 간다"는 발상을 하고 있으니 이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한나라당이 아니면 정치를 할 수가 없다는 말인가.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한나라당으로 들어 가겠다"는 김 의원의 말뜻을 가늠할 수가 없다. 경선 이후부터 한나라당은 박근혜당이 아니라 이미 친박계들이 공존할 수 없는 "MB당"으로 변한지 오래 되었다. 참으로 무지한 생각을 하는 김 의원이 아닐까 생각된다. 지난해 8월 한나라당 경선 이후 박근혜의 변신은 시작되었다. 경선 결과 승복에 이어 이회창 전 총재가 출마 의사를 밝혔을 때 `정도가 아니다"며 "구애 호소"를 단호히 뿌리쳤고, 그토록 불의에 반대하던 정도와 원칙의 당찬 모습은 사라져 버렸다. 박근혜를 지지하던 수많은 논객들과 지지자들의 외침도 마다 않고 한나라당 대선 유세 지원에서 하루에 수차례씩 `이명박 후보를 뽑아달라"며 외치고 다니는 친이 박근혜로 변신했다. 이 대통령 회동 `공정 공천" 올가미 걸려 들어 이런 박근혜 전 대표를 보고 한나라당 지도부들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이미 박근혜의 나약함을 알고 물밑 작업을 벌리고 있었다. 더 이상 박근혜의 파워가 크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니 이 대통령과 회동에서 `공정 공천"이라는 올가미에 걸려 들지 않았던가. 결과론으로 볼때 현재 공천심사위 구성도 박근혜와 친박계들이 만들어 놓은 것이다. 결국 "자업자득"한 꼴이 되었다. 뒤늦은 후회를 하며 이 대통령을 원망하기보다는 자신의 무지를 먼저 생각해야 옳을 것이다. 4.9 총선 공천 뚜껑이 모두 열린 지금, 친박계들이 얼마나 살아 남았는가. 박근혜 전 대표는 "잘못된 공천", "표적 공천""가슴이 찢어진다, 해도 너무한다" "잘못된 공천이다" 라며 비판을 해 왔다. 그럼에도 "영남권 공천 이후에 보자"며 기다렸지만 이 역시 친박계들이 또 당했다. 박근혜, "극단적 선택 할 가능성 거의 없어" 한편 "강남 공천"을 기다린 후 입장을 밝히겠다고 했으나 지금까지 대책도 세우지 못했다. 강남권에서 서초갑에 이혜훈 의원이 공천을 받으면서 친박진영의 반발도 못하는다 분위기다. 친박진영에서는 강남권 공천심사 이후, "공천 원칙과 기준이 없다"며 성토하는 목소리는 들리나 강경한 목소리는 없다. 강남권 공천에서 이혜훈 의원의 공천이 내정됨으로써 박근혜 전 대표가 탈당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많은 친박들이 당해도 한두명만 구제되면 할말을 잊어버리는 것이 요즘 박근혜와 그 친박계들의 행동이다. 언제부터인가 당차게 호령하던 박근혜가 아닌 뒷전에서 관망하는 자세로 변해 버린 박근혜 전 대표였다. 뒤통수를 맞은후 언론에 몇마디 한 것외에는 친박계를 위해 행동하나 보이지 못했다. 박근혜 "공천탈락 친박계 의원들에게 격려 뿐" 박근혜가 한 일이란 공천탈락한 친박계 의원들을 격려한 것 뿐이다. "살아서 돌아오라"라고 말한 것이 전부다. 결국 박근혜 전 대표는 스스로 한나라당속에 묻히고 말았다. 리더가 앞장서지 못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친박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미 잃은 친박계들은 스스로 자생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더 이상 박근혜의 손길을 기다리다가는 모두 당하고 말 것이다. 공천 탈락한 친박계 의원들은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하거나 미래한국당, 자유선진당 등을 이용해 자생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당선이 된다고 해도 한나라당을 찾아서 안된다. 아무리 정치가 생물이라 하지만 영남권 공천에서 `계파 학살" 수준의 공천과 당지도부들의 운영상 문제가 있는 당을 다시 찾는다는건 이율배반적이라 본다. 박근혜 전 대표가 "친박계"들을 살리는 길은 오직 하나 뿐이다. 본인이 출마하는 달성군에서는 천지개벽이 없는한 당선을 할 것이기에, 친박계 지역구마다 지난 5.31 선거때와 같이 유세지원을 해 주는 일 뿐이다. 이것이 친박계들에게 마지막으로 베풀어 줄 배려라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