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훈이 대한민국 홍보전문가 서경덕 교수와 지난 2년간 함께 진행해왔던 "동해" 및 "독도" 관련 광고가 WSJ의 기사 및 지도의 동해병기표기, 미국내 교과서에서의 동해표기 등, 가시적인 빛을 보기 시작함에 따라 동해와 독도, 한글 등 일명 "한국알리기"에 속도를 가하기 위하여 이와 같은 결정을 내렸다. 9일 김장훈의 소속사 측 관계자에 따르면, 그가 기부하는 3억 원 중 먼저 1억원은 3년전부터 김장훈이 홍보대사로 활동하고 있는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에 해외홍보비로 기부되며, 서경덕 교수가 주관하여 진행하고 있는 뉴욕타임스퀘어광장의 전광판에 1년간 진행될 독도홍보광고비에 1억 원, 나머지 1억 원은 학자의 양심에 따라 일본인이면서도 독도지킴에 누구보다 앞장서고 있는 세종대유지 호사카교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한 독도교육에 전달할 예정이다. 소속사 관계자는 "이는 요즘들어 봇물처럼 밀려드는 광고제의에 따라 김장훈 씨가 단독으로 결정했으며, 앞으로도 몇가지 진행되고 있는 광고 결과에 따라 기부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히며, "단, 처음부터 기부를 목적으로 접근하는 광고는 김장훈 씨가 다 거절하기때문에 제의보다는 많은 광고가 이루어지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오히려 김장훈 씨의 공익적인 이미지와, 일은 단순히 일로 끝내자는 강직한 성격 탓에 광고가 결렬되는 경우가 많았다.이번 광고들 또한 김장훈 씨의 기부와는 상관 없이 20년간 정상을 달려온 음악적 행보와 공연 연출가라는 전문성을 메리트로 잡고 섭외가 진행됐기에 가능했으며, 치킨광고를 끝내고 카드광고 및 주택광고를 최종협의 중에 있다."고 전했다, 김장훈은 "지금까지 늘 얘기했듯 우리의 무관심이야 말로 동해와 독도의 가장 큰적이다."며, "세계발 금융위기 타개와 함께 대한민국 기업들의 비상, G20 개최 등, 대한민국의 위상이 전세계에서 높아지고 있는 지금이 한국을 바로 알리고 동해와 독도를 되찾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학술적으로 무장되어 있는 만큼 힘을 합쳐 우리 모두가 조금만 노력하면 찾을 수 있는 독도와 동해의 일에 전국민의 참여가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위기에 강한 민족이므로 오히려 이 일을 계기로 대한민국이 똘똘 뭉쳐 더 강해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라는 메시지도 함께 덧붙였다. 한편, 소속사 측은 현재 서경덕 교수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뉴욕타임스퀘어 전광판 광고는 경기위축을 이유로 기업들의 협조가 원활하지 않은 바, 김장훈이 다시 나서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년내로 10억 원을 어떻게든 모금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소속사는 김장훈과 싸이가 함께 공연하는 역사적인 공연이 조기에 매진될 전망이라고 밝히며, 이에 서울공연이 조기 매진 되고 1회를 추가할 경우, 2회보다 훨씬 더 많은 물량을 투입한다 하더라도 2억 여 원 정도의 예산이 남게되는데, 이 또한 감사의 표시로 세계 곳곳에 한국알리기에 기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더타임스 이민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