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해야" 박 전 대표는 9일 자신의 미니홈페이지에 올린 글을 통해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보면 "우리들과 우리들의 자손의 안전과 자유와 행복을 영원히 확보할 것을 다짐하면서"라는 구절이 있다"며 결국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촛불집회가 한달 넘게 이어지며 "재협상"에서 이제는 "정권퇴진"으로 변해가는 성난 민심이 수그러 들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이명박 정부가 국민의 뜻에 따라야 한다는 표현으로 풀이되고 있다. "총리설에 특별한 입장 밝히지 않아" 박 전 대표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오늘의 대한민국이 조국을 지키고자 했던 애국자들의 많은 희생과 애국심 위에 세워졌다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게 된다"며 "국가는 부디 그 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국민들이 행복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항상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있는 박 전 대표는 국정쇄신 방안으로 거론돼 온 본인의 총리설에 대해서는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6.29 선언 같은 획기적 조치 나와야" 한편 친박연대 서청원 대표는 쇠고기 파동으로 인해 경색된 현 정국을 풀기 위해서 제 2의 6.29 선언과 같은 획기적인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 대표는 오늘 최고위원회의에서 현 정부 지지도가 10%대로 떨어져 있고 야당이 장외 투쟁에 나선 현재의 상황에서는 정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난 87년 6.29 선언과 같은 큰 폭의 내각 개편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서 대표는 그러면서 새롭게 구성된 내각에게 직을 걸고 재협상을 통해 쇠고기 문제를 풀라고 말할 때만이 경색된 국회가 열리고 민생을 챙길 수 있다며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靑 류 실장, 한 총리 사의를 검토" 청와대는 류우익 대통령 실장의 퇴진이 불가피한 가운데 한승수 총리는 자신과 일부 문제 각료만의 사퇴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며 후임 총리 후보에는 박근혜 전 대표가 거론되고 있다. 청와대의 류우익 대통령 실장은 현재 물러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아울러 여러 명의 청와대 수석들도 동시에 퇴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승수 국무총리도 쇠고기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는 입장을 두 차례나 밝힌 만큼 사의를 검토하고 있으나 모든 국무위원들의 동반 사퇴나 사의 표명에 대해서는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