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위원장 윤영애)가 11월 10일 행정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채용 정책 혼선, 관사 운영의 불투명성, 박정희 기념사업 추진 방향, 신청사 재원 조달 대책 미비, 행정정보공개 소극적 운영, 직무대리제도 편법 운용 등 전반적인 행정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윤영애 위원장(남구2)은 “지난해 폐지했던 채용시험 거주지 제한을 다시 도입하며 수험생에게 큰 혼란을 초래했다”며 공론화 부족을 문제 삼고, 향후 채용정책은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갖고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겸직 허가 및 외부강의 신고 등 복무관리 사각지대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교육을 강조했다.
류종우 위원(북구1)은 “전국적으로 축소·폐지 흐름인 관사가 대구에서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다”며 형평성과 투명성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합리적 기준 마련과 단계적 축소·폐지, 대체 활용 계획을 요구하는 한편, 전국 최하위 수준인 ‘고향사랑기부금’ 실적 개선을 위해 플랫폼 활용 확대와 답례품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김원규 위원(달성군2)은 동대구역 광장 동상 논란과 별개로 “산업화 시대의 역사적 가치를 균형 있게 조명하는 기념사업 전략이 필요하다”며 박정희 대통령 관련 사업의 성숙한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승진 내정 후 형식적으로 심의하는 인사위원회 관행을 지적하며, 투명하고 실효성 있는 인사제도 운영을 요구했다.
김대현 위원(서구1)은 신청사 건립 재원 마련이 공유재산 매각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미래 수요를 고려한 체계적인 자산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1억 원 이상 투입된 지능형 민원상담시스템 ‘뚜봇’이 실사용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개선을 주문했다.
육정미 위원(비례대표)은 행정정보공개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를 과도하게 적용해 공개가 제한되고 있다며 “투명성과 책임성이 담보되어야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낮은 처우와 악성 민원으로 인해 저연차 공무원 이탈이 심화되고 있다며 중요직무급 신설 및 보호 장치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성오 위원(수성구3)은 “반복 지적에도 개선되지 않는 직무대리제도 편법 운영은 인사 공정성을 훼손한다”며 즉각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이어 구·군마다 제각각 시행 중인 점심시간 민원실 휴무제가 시민 불편을 초래한다며 시 차원의 통일된 운영 기준 마련을 제안했다.
기획행정위원회는 “행정은 시민의 신뢰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며 이번 감사 지적 사항에 대한 실효성 있는 개선과 책임 있는 후속 조치를 강하게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