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전 대표는 이 대통령과의 회동에서 탈당 친박인사들의 복당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청와대측으로부터 호주 방문 이전에 한번 봤으면 좋겠다는 연락이 와서 10일 만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동에서는 4.9 총선 공천을 계기로 손상된 양자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정 동반자" 관계를 재구축하느냐 여부가 핵심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 화합과 신뢰 회복을 위해 복당 문제를 놓고 이 대통령은 공천헌금 파문으로 검찰수사 대상에 오른 친박연대 일부 인사들을 제외한 친박 무소속 연대와 친박연대 인사들의 복당 방안을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 관계자가 밝혔다. 박 전 대표의 입장에서 이 대통령이 복당문제와 관련, 너무 인위적이지 않으면서 순리에 따라 해결하자는 제안을 마냥 뿌리치기도 여의치 않다. 또한 당 일각에서는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차기 당 대표를 맡아달라는 제안에 대해 관측도 나오고 있지만, 박 전 대표는 앞전에 밝혔듯이 복당외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 성사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여진다. 박 전 대표는 친박 복당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차례 의사를 밝힌 만큼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해 일괄 복당 방침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강재섭 대표가 복당 시기는 7월 전당대회 이후로 해야 한다고 표명한만큼 어떻게 조율하느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통령이 박 전 대표에게 당 대표직을 제안할 가능성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들은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지만, 당내 주류 의원들은 "대표직을 맡아달라고 요청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전 대표측은 당 대표직 수용에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박 전 대표는 당 대표 제안설에 대해서도 전부 복당이 되면 당 대표에 나가지 않겠다고 이미 말했다며 거절의 뜻을 밝혔다. 한 측근 의원이 "당 대표를 두번이나 했고, 복당문제가 해결되면 출마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전망하듯, 박 전 대표가 당대표에 욕심을 내보일 가능성도 적어 보인다. 더구나 박 전 대표는 평소에 당권.대권 분리를 강조해온 터에 이 대통령에게 당대표 제의를 받는 것은 별로 달갑지 않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이밖에도 민심 이반을 초래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 파동과 한미 FTA 비준안 처리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고 당.정.청 간 원활한 소통시스템 보완 등 국정쇄신책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