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환경부 김성환 장관이 8월 7일 낙동강 수계에 위치한 안동댐, 영주댐, 강정고령보와 인근 취·정수장을 차례로 방문하며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이번 방문은 낙동강 유역의 취수원 다변화 추진 상황과 녹조 대응 현황을 직접 살펴보고, 대구·경북 지역의 맑은 물 공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차원이다.
환경부는 이날 “장관이 취수원 다변화 예정지 및 녹조 발생 지역을 직접 점검하고,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기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그간 대구·경북 지역의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이용안과 안동댐 활용방안 등이 제안되었으나, 관련 지자체 간 이견으로 실행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안동댐, 해평취수장을 중심으로 낙동강 상류의 물 관리 여건, 상수원 이용 특성, 취수장 운영 현황 등을 전반적으로 점검했다.
김성환 장관은 “지역 간 이해관계가 얽힌 낙동강 물 문제를 더는 미룰 수 없다”며 “취수원 다변화는 대구·경북 주민의 물 복지를 위한 핵심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낙동강 녹조 문제와 관련해서도 환경부는 조류차단막 설치, 녹조제거선 운영, 정수장의 고도처리 강화(활성탄, 오존 처리 등) 등의 대응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야적퇴비 수거, 비점오염저감시설 점검 등 오염원 저감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이번 현장 방문에서는 영주댐과 강정고령보를 직접 찾아 녹조 발생 현황과 보 개방 가능 여부를 점검했다. 동시에 오염원 관리 실태, 녹조 제거설비 운영 상태 등도 꼼꼼히 확인했다.
김 장관은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오염원 저감뿐 아니라 물 흐름을 회복하는 재자연화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강은 흘러야 한다는 원칙 아래 보 개방을 검토하되, 취·양수장 및 지하수 이용 우려에 대한 대응책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이번 점검을 계기로 보 개방과 재자연화 추진에 있어 지역 주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물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김 장관은 끝으로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며 “맑은 물 공급과 녹조로부터 안전한 수환경 조성을 통해 낙동강 유역 주민의 물 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