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는 지난 4월 ‘2025년 대구지역 장애인 권리보장 정책요구안’을 시에 전달했으나, 대구시가 김정기 대구광역시 권한대행 체제에서 뚜렷한 개선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며 강한 불만을 표했다.
특히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와 특별교통수단 이용 확대 등 핵심 요구가 여전히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연대는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가 지역사회에서 자립 생활을 가능케 하는 핵심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부족으로 지원 대상자 확대가 지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구시의 활동지원서비스 법정 급여 대상자는 지속적으로 늘어(2020년 4,376명 → 2024년 6,696명) 왔지만, 시비 추가지원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자는 오히려 감소(2020년 1,030명 → 2024년 983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대는 특히 24시간 지원이 필요한 중증장애인들의 삶의 질 보장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특별교통수단은 일부 교통약자들의 이동을 지원하지만, 발달장애인의 시내버스·지하철 접근권은 여전히 제약돼 있다. 이로 인해 발달장애인들의 이동권은 구조적으로 차별받고 있다는 게 연대의 설명이다.
연대는 대구시가 예산 확보 어려움과 재정 부담을 이유로 장애인 권리 보장을 미루고 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아울러 연대는 대구시가 최근 추진 중인 ‘신천 프로포즈존’와 같은 대규모 사업에 143억 원을 투입하면서도 장애인 권리보장 예산 확보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문제 제기를 했다.
이번 기자회견에서 연대는 1인 시위를 시작으로 대구시청 앞에서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 보장을 위한 집중 행동에 돌입한다. 더불어 연대는 “지난 4월 면담 요청 이후 지금까지 아무런 답변조차 하지 않은 김정기 대구광역시 권한대행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며 재차 면담을 요구할 계획이다.
연대는 이번 기자회견을 통해 대구 지역 장애인의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공론화를 촉구하며, 지역 언론과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