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타임즈 마태식 기자 ] 대구와 경북의 과학기술계와 산업계, 학계, 정치권 인사 10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미래 전략과 국가 균형발전의 방향을 함께 논의했다.
지난16일 수성구 범어동 소재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대구‧경북 글로벌 과학기술 육성 포럼’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경북과총이 공동 주관하고 AX 나노시스템즈가 후원했으며, ‘과학기술로 여는 대구·경북의 도약’을 주제로 마련됐다.
행사에는 주호영 국민의힘 국회 부의장(대구 수성 갑),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서상곤 경북과총 회장, 김덕규 경북대 교수(전 국립대학 과학관장), 신성철 전 카이스트 총장, 조현일 경산시장, 김대권 수성구청장 등 각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김덕규 경북대 교수는 환영사에서 “대구는 오랜 연구 기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도권과의 격차가 크다”며 “지역 대학과 기업, 출연연이 연계된 기술혁신 허브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미래 모빌리티와 인공지능 산업 중심으로 대구의 산업 체질을 전환하겠다”며 “이번 포럼이 지역 과학기술 발전의 실질적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주호영 국회 부의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대구‧경북은 지금 성장과 쇠퇴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협력과 연계, 통합을 통해 메가시티를 완성하고 과학기술 중심의 메가사이언스 시티로 도약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구와 경북이 힘을 합쳐야 중복 투자를 줄이고 단일 경제권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며 “통합 대구경북특별시 설치를 통해 행정과 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5500억 원 규모의 ‘AX AI 트랜스포메이션’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아 확정됐다”며 “대구 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로봇,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을 육성해 2030년까지 기업 1000개, 일자리 2만 개, 매출 9조 원을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군위 신공항과 포항 영일만항을 연계한 국제 물류망 구축을 통해 대구‧경북이 동북아 경제의 거점으로 성장해야 한다”며“지역의 대학, 병원, 연구소, 기업이 협력해 과학기술 생태계를 완성한다면 대구경북은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대구·경북, 과학기술로 미래 연다… ‘글로벌 과학기술 육성 포럼’ 성료